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양자컴퓨터 분신술로 더 빨리 계산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너무 이상해서 우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20
세기
초의 물리학자들이 이 이상한 미시 세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양자역학”이라고 설명했지요.양자컴퓨터가 이용하는 것이 이 중첩현상입니다. 기존의 컴퓨터는 정보 처리 단위인 ‘비트’를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발사된 1957년을 우주 탐사의 원년이라 한다면 우리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는 반
세기
를 훌쩍 넘은 지 오래다. 그런데도 지금껏 천왕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은 보이저 2호뿐이다. 1977년 지구를 떠난 보이저 2호는 9년여의 항해 끝에 천왕성을 만났다. 보이저 2호가 보내온 사진 속 천왕성은 연한 청록색의 ... ...
[통합과학 교과서] 지옥이 불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흐요르트 교수는 “땅을 개발하거나 건물을 지을 때 발생하는 열도 고려하면, 21
세기
말까지 건물에 광범위한 손상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에필로그“아시겠죠? 땅에 물이 흥건해진 건 단테가 지옥에 다녀온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어요. 원인은 기후변화에 있죠.”꿀록 탐정의 설명에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과학동아로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대량으로 찍어내는 기술이 탄생하고서야 직업인으로서 저널리스트가 등장했습니다. 21
세기
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저널리즘을 탄생시킬 것입니다. 과학동아는 독자를 최우선에 두려 합니다. 여러분이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진심으로 궁금하고 알고 싶습니다. 앞으로 여러분과 만날 수 있는 ... ...
[엣지 사이언스] 촉매로 만드는 친환경, 화학 산업이 푸르러 질 때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같은 마법사가 아닌 이상 자연의 돌을 마음껏 가지고 놀 수는 없다. 하지만 촉매는 한
세기
가 넘는 연구개발을 통해 마법 이상의 능력을 보여 왔다. 화석연료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촉매는 화학이라는 터전에서 마법을 부려왔다. 이외에도 친환경 탄소중립을 위한 촉매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 ...
[특집] 탄생 150주년 기념, 프로N잡러 버트런드 러셀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가이자 전쟁 반대 운동에 앞장선 사회운동가이기도 했답니다. 20
세기
프로N잡러였던 러셀의 삶을 함께 살펴볼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탄생 150주년 기념, 프로N잡러 버트런드 러셀Part1. [특집] 사회운동가 러셀 모두가 평화로운 세상을!Part2. [특집] ... ...
[특집] 수학자 러셀 수학을 논리 위에 세우다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1890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칼리지의 장학생으로 입학해요. 이때 스승이자 20
세기
를 대표하는 수리논리학자인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눈에 들어요. 자신의 실력을 알아봐 준 화이트헤드의 영향을 받아 수학과 논리학에 빠지지요. 러셀은 수학과를 3년 만에 최우등 졸업생으로 ... ...
[특집] 식량 위기의 뿌리엔 농사가 있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다른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다. 농사의 시작인류는 작물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19
세기
와 20
세기
중반까지는 농업이 인류 문명 진보의 첫걸음, 즉 인간의 지능 혹은 능력 발달의 시작이라고 보는 시각이 전부였다. 하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 학계에서는 농업혁명이 오히려 인류 문명사의 새로운 ... ...
[핫이슈] 전쟁 우리를 막을 수 없다! 우크라이나 리비우 수학학회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우크라이나 리비우의 핫플레이스였던 ‘스코틀랜드 카페’에는 리비우 수학학회 수학자들이 문제를 풀던 공책이 있었다는데요. 제2차 세계대 ... 바나흐 공간, 케이크 자르기 이론,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이 대표적이지요. 사실상 21
세기
거의 모든 수학 분야를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어요 ... ...
[매스미디어] 닥터 스트레인지 : 대혼돈의 멀티버스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이 상수가 어떻게 정해졌는지는 아무도 몰라요. 여기서 결합 상수는 물리적 상호 작용의
세기
를 나타내는 수예요. 일부 물리학자들은 다른 상숫값을 가진 기본 입자로 이뤄진 우주가 어딘가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상수가 달라지면 우주의 기본적인 구조도 달라지거든요. 따라서 디멘션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