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곱"(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가우스가 다수의 관측값으로 부터 실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추정할 수 있는 ‘최소제곱법’이라는 통계이론을 고안하면서 통계가 활용되는 예가 크게 늘었거든요. 통계가 사회와 경제활동 등에 깊숙이 활용되면서 일러스트가 도입되고, 사진을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된 거죠.현재는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구구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곱셈을 할 수 있는 독특한 곱셈법이군요. 특히 수를 2의 거듭제곱의 합으로 표현하는 아이디어가 신선합니다. 그런데 곱셈 값을 얻기까지 과정이 좀 길군요. 큰 숫자의 곱셈을 하려면 몇 시간이 걸릴지도 모르겠어요.후보 2 인도의 바스카라와 존 네이피어 팀선긋기와 표만 ... ...
- [수학뉴스] 만약 김연아 선수가 수학을 공부했다면?수학동아 l2013년 04호
- 010년부터 2011년까지 체질량지수와 신체 균형도를 평가했다. 체질량지수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중의 증가와 비례하는 특징이 있어서 비만 정도를 측정할 때 많이 활용한다. 또 신체 균형도 검사는 말 그대로 전반적인 신체 균형을 측정하는 것으로, 운동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를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잘 설명하는 직선의 방정식이 구해지고, 알고 싶은 시점의 결과값을 구할 수 있어요.최소제곱법은 현재까지 통계학에서 중요한 분석 방법 중 하나예요. 천문학 연구에서 고안됐지만, 두 학문 모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답니다.유전학자가 발견한 회귀분석아빠와 엄마의 키의 평균이 170cm라면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아래 칸 A2에 ‘=A1^2-2’ 수식을 입력한다. ‘^2’은 제곱을 의미하므로, A1칸에 있는 0.4의 제곱수에서 2를 빼란 의미다. A2 칸에 적힌 답은 -1.84(=0.4²-2)다. 이제 A2에서 A40까지 드래그한 뒤, 홈 메뉴에서 ‘채우기-아래쪽’을 클릭하면 이 계산을 40회 반복 계산할 수 있다.그리고 B1에 0.4를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감도가 10배 높아지면 10배 더 먼 곳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 공간으로 따지면 세제곱이므로 1000배나 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중력파를 찾을 수 있다.이 정도의 감도로도 작은 천체에서 나오는 중력파는 검출하기 어렵다. 은하는 질량이 크지만, 부피가 커서 강력한 중력파가 나오지 않는다.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무거움이 인력이라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또 따름정리 2번에서 무거움의 크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니, 제1권의 명제 74번의 따름정리 3번을 보고 스스로 확인해보라고 했다.뉴턴의 운동 3법칙(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 - 반작용의 법칙)은 제1권 본문이 시작하기도 전에 ‘법칙’이라는 ...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최신 반도체 제작 기술을 이용해 빛을 머리카락 단면적의 1억분의 1에 불과한 100 제곱나노미터의 작은 점에 모으는 데 성공했다. 집속 효율도 약 74%에 달해 지금까지 반도체 칩에 빛을 모은 실험 중 가장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광학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출 ...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밝은 빛을 만들어냈답니다. 이 ‘미니 태양’의 크기는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1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이런 작은 공간에 밀도가 아주 높은 빛을 모을 수 있으면,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한 번에 많은 빛을 보내 통신 속도나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이렇게 탄생한 것이 ‘칠정산 외편’이다.칠정산 외편에는 고차방정식과 삼각함수, 제곱근을 이용해 1년의 길이, 일식 등 여러 자연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돼 있다. 현대의 1년 기준과 단 1초밖에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세종대왕(1397~1450)은 조선시대 4대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