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곱"(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한 기념일의 수,14수학동아 l2012년 07호
- 남는 부분은 어떤 것일까? 발렌타인데이나 파이데이의 14일 수도 있고, 어떤 자연수의 제곱근의 근삿값을 구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을 수도 있다. 또 경우의 수에 관심이 많다면 4번째 카탈란 수인 14가 기억에 남을 수도 있다. 이제 기사에서 그치지 말고 인터넷이나 책을 통해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자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법칙이 달랐다면?중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만일 중력이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면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안정적인 궤도로 돌기 어렵다. 외부에서 작은 힘만 작용하더라도 태양으로 끌려들어가거나 우주공간으로 튀어나가 버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세계의 지하철 구조, 수학적으로 서로 비슷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결과 몇 가지 수학적인 관계식을 찾을 수 있었다. 역을 잇는 선의 개수는 대략 역 개수의 제곱근 값과 비슷했다. 또 핵 안에 있는 역의 2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역과 연결돼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연구팀은 “서로 다른 많은 지하철 노선도가 수학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띠고 있다는 결론을 얻게 ...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수학동아 l2012년 06호
- 13은 많은 사람들이 불운의 상징으로 여기지만, 소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제곱수와 관련된 재미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개수인 동시에 숨은그림찾기처럼 1달러 지폐 곳곳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제부터 13을 불운한 숫자로만 보지 말고 신기하고 재미있는 ...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넓이 가지 노선도 길어졌다. 역 수가 많을수록 가지도 많아졌는데, 가지 노선 수를 제곱하면 대략 역의 수와 비슷해졌다. 모스크바만 예외였는데, 가지 노선이 세 배 정도 길었다.연구팀은 지하철망이 커지면서 비용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런 ‘공통화 현상’이 나타난다고 추정했다.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아이디어가 발명됐다. 바로 17세기 존 네이피어가 발명한 ‘로그(log)’다. 로그는 거듭제곱을 이용해 만든 일종의 수학적인 약속으로, 계산을 편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면 ${3}^{38}$과 같은 큰 수를 38log3과 같이 나타내 계산기 없이도 계산할 수 있다. 또 네이피어는 ... ...
- 함수, 그리면 별거 아니야!수학동아 l2012년 05호
- 공부하기 전에 인수분해와 이차방정식을 한 번 더 복습하라!5. 이차함수는 되도록 완전제곱꼴로 고쳐라!6. 이차함수 그래프를 그릴 때는 반드시 꼭짓점, 최댓값, 최솟값을 표시하는 습관을 들여라!어때요? 자신이 그린 이차함수 곡선이 아름답게 보이나요? 앞으로 교과서나 문제집뿐만 아니라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했다. 10²+11²+12²=13²+14² 연속하는 세 수의 제곱의 합과, 또 이어 연속하는 두 수의 제곱의 합이 같은 오묘한 식이다. 이 식은 등호의 각 변의 합이 365로, 지구의 1년에 해당하는 날을 의미한다. 구소련의 과학자들은 외계인이 이 신호를 받고 지구를 관찰한다면, 이 수가 지구의 공전 주기에 딱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무작위적으로 배열될 경우의 수를 찾으면 된다. 그 값은 자그마치 10을 10122번 제곱한 수다. 이론적으로 우리 우주 안에는 이만큼의 데이터(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우주는 곧 데이터다.이제 아득한 데이터유니버스의 끝이 보이는 것 같다. 하지만 마지막의 마지막이 하나 남았다. 우주가 여럿 ... ...
- 연산, 흥미를 갖고 따라와~!수학동아 l2012년 03호
- 반드시 구별합시다. ‘2의 제곱근’은 ‘$x$²=2를 만족시키는 해’로 ± $\sqrt{2}$이고, ‘제곱근 2’는 ‘ $\sqrt{2}$ ’ 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만약 이 단원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다면 고등학교 과정에서 등장하는 복소수라는 새로운 수 개념은 물론이고, 이어 등장하는 곱셈공식과 인수분해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