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스페셜
"
추측
"(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37억 년 전도 생명체가 지구에 나타나고 한참 뒤인 시점일 거라고
추측
했다. 즉 지구 생명의 역사가 40억 년이 넘는다는 게놈비교를 통한 계산의 결과가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구 역사 45억 년에서 90%는 생명체와 함께 했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이 또한 지나가리’ 스트레스 이기는데 효과적일까
2016.08.23
수 있다는 것을 알고있기 때문에 삶 전반에 대해 더 높은 통제감을 가지는 것이라고
추측
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거리두기를 잘 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시험’과 같은 큰 스트레스 상황이 닥쳤을 때 실제로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살펴봤다. 그 결과 거리두기를 잘 하는 사람들도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공급한다. 이때 영양분의 평균값은 같다. 연구자들은 뿌리의 양으로 식물의 투자전략을
추측
했다. 즉 식물은 영양섭취를 더 기대한 쪽 화분의 뿌리를 더 키운다는 말이다. 실험결과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중간일 때 식물은 위험을 선택했다. 즉 영양 편차가 큰 쪽의 뿌리가 더 무성했다. 반면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드문 백홍(白虹)은 태양의 활동이 예외적으로 강할 때 관측되는 현상일 것으로 저자들은
추측
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같은 지역이고 천문기록 문화를 공유한 한국과 일본의 문헌도 면밀히 검토해본다면 당나라 때 오로라 관측 기록과 일치하는 기록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른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결과 기재양식을 표준화해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물론 ‘구조로 작용을
추측
한다’는 논리가 늘 먹혀들어가는 건 아니다. 구조가 약간 바뀌었을 뿐인데도 전혀 다른 특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활성의 절벽(activity cliffs)’라고 부른다. 이에 대해 하텅 교수는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이뤄져 있어서 각 층이 시각 신호에 기여를 할 것이다. 즉 색소가 두 층에만 있든(필자의
추측
) 세 층에 다 있든 차이는 미미할 것이다(다른 꽃들은 그렇지 않다). 이 꽃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특별할 뿐 아니라 해부학적으로도 예외적인 존재다!(This flower is not only special because it’s beautiful, also it’s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대규모의 전투를 수행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한반도에서도 일찌감치 필자가
추측
하는 수준 이상의 큰 규모와 잦은 빈도로 전투가 벌여졌을지도 모른다. 박물관에 가지런히 배열된 돌화살촉은 아름답기까지 하지만 결국은 끔찍한 살상무기일 뿐이다. “과거는 아름답고 사람들은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
2016.04.04
있다. 즉 나라별로 여러 사람의 대답을 통계처리하면 거짓말이 어느 정도 섞여 있는지
추측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나라 사람들이 100% 정직하다면 1에서 6까지 6분의 1에 가까운 확률로 답이 나올 것이다. 가로축(x)이 숫자(6 대신 0) 세로축(y)이 누적빈도인 좌표로 표시하면 y절편이 1/6 기울기가 1 ... ...
소극적인 사람이 전염병에도 덜 걸린다?
2016.03.22
‘상관’이 있었다는 결과일 뿐이라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진짜 원인에 대해서는
추측
만 할 뿐이다. 하지만 흥미로운 결과임은 분명한 것 같다. 성격과 전염병 사이에 상관이 있다니, 또 어떤 예측 불가능한 요소와 우리의 내적 특성이 관련되어 있을지 기대해봅시다. ※ 필자소개 지뇽뇽.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논문에서 이 게놈의 주인공은 불과 4~6세대 위의 조상이 네안데르탈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
했다. 이는 약 4만7000년~6만5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이 현생인류로 흘러들어갔다는 추정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