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추측"(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현재까지 아프리카를 벗어난 최초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로 알려져 있고 체형을 추측하게 뼈들 역시 호모 에렉투스임을 알려주지만(다만 키가 145~166센티미터 정도로 작다), 뇌용량은 터무니없니 작아 호모 하빌리스보다도 작다. 또 생김새도 턱이 많이 튀어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를 보는 것 ...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8
- 천체에서 항성 엄폐를 관측했지만 고리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데이터를 토대로 추측해보면 안쪽 고리는 반지름이 391km에 폭이 7km, 광학깊이(물체를 통과한 뒤 빛이 줄어든 정도를 자연로그로 나타내 -1을 곱한 값. 1/e로 감광될 경우 1이다)가 0.4이고, 바깥쪽 고리는 반지름 405km, 폭 3km ...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동아사이언스 l2014.03.24
- 장애가 되는 경우가 더 많다는 사실은 기억뿐 아니라 망각도 뇌의 ‘기능’일 거라는 추측을 하게 한다. 체험, 즉 오감을 통해 밀려드는 정보더미가 과잉기억증후군인 사람들처럼 그대로 쌓여 시도 때도 없이 떠오른다면 내 삶을 편집해 의미를 끄집어낼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즉 건강한 기억은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동아사이언스 l2013.12.26
- 타이로신을 통한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외부 신호가 세포 안으로 전달된다고 추측했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다른 여러 단백질에도 SH2 영역이 존재해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걸 밝혔다. 1981년 캐나다로 건너가 브리티시컬럼비아대를 거쳐 1985년 토론토대와 시나이산병원에 자리를 잡은 ...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KOITA l2013.12.10
- 고구려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의 문화가 현지화되면서 전해졌으리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로마에서는 목욕문화가 발달하여 데운 목욕물을 난방에도 활용하곤 했는데, 이때 이용한 방법이 한국의 온돌과 매우 흡사하다. ‘하이포코스트(Hypocaust)’라 부르는 이 난방방법은 건물의 바닥을 ...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3.10.21
-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뇌 활동을 하면서 청소를 병행하기는 어렵다고 추측하고 쥐를 대상으로 깨어있을 때와 잠잘 때 글림프 시스템을 비교해보기로 했다. 그 결과 예상대로 큰 차이를 발견했다. 즉 깨어있을 때는 뇌척수액이 뇌조직 표면에만 머무를 뿐 깊이 침투하지 못했고 뇌에서 ... ...
- 공감하고 싶으면 앨리스 먼로를 읽으세요동아사이언스 l2013.10.14
- 문학소설뿐 아니라 다른 예술 장르에서도 공감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끈덕진 더위도 이제 물러가고 정말 가을이 온 것 같다. 하루에 두 편씩 먼로의 단편을 읽으며, 모처럼만에 진정 ‘독서의 계절’을 보내야겠다 ...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2013.10.10
- 차오르면 폐호로 물이 넘치게(overflow)해 소파수호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렇게 일정하게 유지된 소파수호의 물은 수수호로 흘러들어가 부표를 일정한 속도로 떠오르게 한다. 부표에는 눈금을 새긴 잣대(부전)이 붙어 있는데, 물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떠오르면서 ...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동아사이언스 l2013.09.23
- 거의 암사자 느낌이다. 실제 재규어는 호랑이, 사자 다음으로 큰 종이다. 퓨마에 대한 추측도 완전히 틀렸다. 퓨마와 사자는 계열 자체가 달라 둘은 1080만 년 전에 갈라진 종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치타가 바로 퓨마 계열에 속한다는 것. 둘은 492만 년 전 헤어졌다. 그런데 퓨마는 신대륙에만 ...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다른 실험에서는 12명 가운데 10명이 화면에 흩어져 있는 조각들의 숫자를 더 정확히 추측했다. 피카소가 그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초상' -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제공 이런 장치가 아니더라도 좌뇌가 평소 우뇌의 서번트 능력을 얼마나 억압하고 있는가를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 ...
이전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