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엔진
기기
기계
숨통
숨구멍
공공기관
d라이브러리
"
기관
"(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1백25K에서 초전도현상을 나타내는 티타늄계 산화물이 등장했다.국내의 대학과 연구
기관
에서도 1백K 내외에서 전기저항이 없어지는 초천도체를 발견했다는 보도가 잇따랐다.그런데 90년대 들어 이러한 열풍은 갑자기 식기 시작했다. 왜일까.고려대학교 화학과 최동식 교수는 초전도현상에 대한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시작하여 그다음 90분에서 1백20분 동안 소장을 지나 소장과 대장 사이의 연결
기관
으로 내려간다. 이때 박테리아가 소장에서 쫓겨나 결장으로 가게 되는데 이것이 반복적인 진동을 지속시킨다.다르코 박사에 따르면 밤새 결장의 벽은 90분에서 1백20분 사이에 반복운동을 하는 박테리아로 가득차게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유용한 전력으로 활용되고 있다. 잠수함은 소형인 경우 디젤
기관
, 대형인 경우 핵추진
기관
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핵추진 잠수함인 경우 속도가 빠르고 핵탄두를 장착한 함대지 미사일을 보유한 잠수함도 있다 이들 전략 함대지 미사일을 장착한 잠수함은 원자력추진 핵잠수함이라고 불리며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수 있다. 생물학은 하향식(top-down)이지만 인공생명은 상향식(bottom-up)이다. 생물학은 개체
기관
조직 세포의 순서로 계층을 내려가면서 구성 물질을 분석한다. 그러나 인공생명은 비선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를 적절한 방식으로 조직하면서 집합체의 행동을 합성한다. 말하자면 생물학은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몸에서 눈만큼 작으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기관
도 흔치 않다. 사물이 보이는 이치는 뭘까. 눈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자.척추동물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상당히 유사하다.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은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고 초점이 조절되므로 망막에 도립상이 맺히게 된다. 카메라에서 상의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미사일의 기체는 비행에 적합하도록 공기 저항을 극소로 줄이게 설계돼 있다. 추진
기관
은 대부분 로켓 추진기를 채택하고 있으나, 토마호크나 하푼과 같이 대지(대함)미사일의 경우 항공기에 이용되는 제트 엔진을 사용하기도 한다.탄두는 보통 핵탄두와 재래식 탄두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강대국의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등과 같은 화합물은 무한히 많고 재생가능한 천연생물자원이다. 이를 이용한 동력
기관
이 머지않아 그 모습을 드러내리라 생각한다.셋째 효소공학과 관련한 생물공정기술의 창출이다. 생물전환과 효소합성을 통하여 새 생체분자를 생산할 때마다 새로운 생물반응기와 분리정제기술이 필요하다. ... ...
우주토마토 국내에서 첫 재배 실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입수해, 1백세트를 서울대 원예학과 등 대학과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 등 전문연구
기관
에 실험재배를 의뢰할 예정.나머지 2백세트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무료배부하고 1년 동안의 실험재배 결과보고서를 받을 계획이다. 여기서 한세트란 우주공간에 노출된 씨앗과 지상에만 있었던 씨앗 한조를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 순환이 완성되는 데는 수백만년이 걸린다.지구물리학자들은 최근 지구 내부 열
기관
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있어 두드러진 진전을 보였다. 근착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지구물리학자들은 지난 수개월을 거치면서 해저를 구성하는 거대한 지판(地板)이 지구 맨틀 깊숙이 침강하여 거대하고도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관측자료는 파일로 해서 보관하고 그 복사분을 1개월 단위로 모아 천문학회나 연구
기관
에 보고한다.태양흑점의 관측은 하루정도 관측해서 성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의 자료누적에 의해 그 가치가 나타난다.관측장소는 열을 잘 흡수하는 곳이 좋은데 이상적인 곳은 물 위라고 한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