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엔진
기기
기계
숨통
숨구멍
공공기관
d라이브러리
"
기관
"(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바이오센서를 내장한 변기를 개발중이다. 이 변기는 앞으로 노인병센터와 같은 공공
기관
에 공급될 예정이라고 한다.이 색다른 변기에 오줌을 누면 약간의 오줌이 포도당 바이오센서가 든 용기에 흘러 들어 곧 바로 체내 당분의 과다를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이때 오줌 속에서 다량의 당분이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1995년부터 보현산 천문대의 1.8m 망원경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우리나라 천문학은 새로운 도약이 이루어질 것이다.소백산천문대의 직경 60cm 망원경 ... 인하여 선조들의 찬란했던 천문학 역사에 부끄럼이 없도록 우리 천문대가 떳떳한 독립
기관
으로 자리잡을 날이 조만간 오기를 기대해본다 ... ...
유인행성탐사보다 지구관측이 중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최고책임자는 고어 부통령이다. 그것은 부통령이 미국 우주개발정책의 의사결정
기관
인 국가우주회의(NSC) 의장이기 때문이다. 널리 알려진 환경보호론자인 그가 우주개발예산을 삭감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었지만 정작 고어 자신은 선거 전부터 우주정거장 '프리덤'계획을 계획하겠다고 밝혀왔다.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생각 중이나, 돈이 관련된 문제라 쉽지 않을 것이라고 고민을 털어놓았다.평생을 교육
기관
에서만 근무하던 '선생'인지라 학교교육의 현황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가 소개하는 에피소드 하나. 어느날 국회의원들이 시골 일선 학교에 나와서 교실에 있는 지구본을 보고 "지구본이 왜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때 이것을 가지고 병원에 가야할지 아니면 기다려야 할지를 판단하는데는 (0차 의료
기관
의 기능) 상당히 큰 도움을 준다.컴퓨터진단은 현재의 위치를 정확히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어떤 면에서 보면 상당한 발전이 있으나 또 어떤 부분에서는 아주 느리게 발달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이 사용할 수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점에서 /ㅂ/ 및 /ㅃ/와 구별된다.한편 /ㅃ/ 발음할 때 후두를 비롯한 발음
기관
이 긴장하는 이른바 된소리라는 점에서 /ㅂ/ 및 /ㅍ/와 분명하게 구별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별은 다른 파열음에도 있다. /ㄷ/ /ㅌ/ /ㄸ/는 모두 혀끝과 치조(齒槽)사이에서 파열이 일어나는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확산압력(pervasive pressure)을 동력화하여 우주선을 움직인다는 것이 요체다. NASA와 그밖의
기관
들의 연구결과는 태양항해가 우주선에 무거운 화학연료를 따로 실을 필요 없게 만드는 아주 그럴듯한 추진방식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우주반사경 착상처럼 이 개념 역시 세계의 어느 정부도 그것을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인공수정 아(兒)는 날로 증가하게 되었다.우리나라의 경우도 산부인과 진료를 하는 의료
기관
이라면 어느 병원에서나 인공수정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인공수정을 처음 실시한 것은 1950년대부터로 추정된다. 물론 처음 한동안은 신선한 정액만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다가 1985년 이후부터 냉동보관 된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음형대를 갖는 것은 성대에서 생산된 소리가 목을 지나고 입을 거쳐 나오는 동안에 발음
기관
의 모양이 달라짐에 따라 다른 주파수 부분이 공조되기 때문이다.자음의 음향구조는 모음의 음향구조보다 더 복잡하다. 많은 경우 자음은 모음이 시작하거나 또는 그치는 특수한 방식을 나타내보일 뿐이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수확량은 크게 늘어날 것이다. 타스매니아대학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대표적인 연구
기관
인 CSIRO가 공동작업을 벌여 1시간당 3.6t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는 수확장치를 새로 제작할 계획이기 때문이다.동물성 플랑크톤은 거의 모든 어린 물고기의 필수적인 먹이인데 갑각류나 성어의 경우에도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