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정수·이연희 교수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레터스’에도 실렸다.진흥 부문 수상자인 이 교수는 국가 생명자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우리나라
의 연구소재은행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국제협력에 힘썼다. 연구소재중앙센터장을 맡은 뒤 전국 36개의 소재은행을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연구자들이 자료를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돌아가고 있는 것 말고도 저 멀리 해안선에도 커다란 바람개비가 돌아가고 있었다.
우리나라
에서 최초로 설치된 해상풍력 장치다. 과학자들은 강한 바람을 최대한 얻기 위해 바다 한가운데를 주목했다. 건물이나 산 같은 장애물이 전혀 없고 늘 강풍이 불기 때문이다.국내에 해상풍력발전기를 세울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지난 5월 장기기증 신청자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다. 반면 인체조직은 사망한 뒤 기증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거의 모른다. 인체조직 ... 모두 줄 의무도 있다’는 국민들의 의식과 제도의 뒷받침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
우리나라
도 곧 그렇게 될 거라 믿는다”며 관심을 당부했다 ... ...
바이오안전성·산업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근거, 논리적 전개가 가장 중요하다”며 “대상을 받은 김윤정 학생은 나고야 의정서가
우리나라
에 미칠 영향과 근거를 짜임새 있게 논리적으로 제시했을 뿐 아니라 대안 제시에서 필요한 관련 자료가 적절하게 인용됐다”고 평했다.‘더 이상 피할 수 없는 GMO’를 주제로 독후감을 작성해 중등부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자료로도 활용된다. 하지만 그 수가 적어 찾기가 힘들다.지난 3월, 랭무어 교수는
우리나라
극지연구소 연구팀과 함께 남극 중앙해령에서 최초로 열수분출구를 발견했다.이번 발견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열수분출구의 위치 때문이다. 열수분출구 주변의 생물은 대양마다 다르다. 이 생물들은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물이 도시로 몰려온다(①). 따라서 한쪽을 조금 늦거나 빠르게 방류해야 한다(②). 실제로
우리나라
에선 홍수통제소가 이런 수학적 원리를 이용해 댐을 관리한다. 하지만 태국은 이렇게 댐을 관리하는 곳이 없어 피해를 키웠다. 홍수 막는 비결은 수학홍수를 막으려면 이런 계산과 동시에 정확한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보면 가장 균형있고 아름다워 보이는 비율인 황금비(1 : 1.618)가 존재한다. 그럼 혹시
우리나라
풍속도의 걸작, 신윤도의 미인도에도 황금비가 숨겨져 있지 않을까? 실제로 계산을 해 보면 미인도 속에도 황금비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➊ 얼굴 속 황금비눈-입 거리 = 1.6입-턱 거리 = 1➋ 배치의 ... ...
조선 로맨스 허풍에게도 이런일이?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아프리카의 초원. 모두 다시 가고 싶네요. 하지만 이 모든 곳보다 아름다운 곳은
우리나라
조선이죠. 기자님이 계시니까요. 하하하.”이런 말도 안 되는 말들이 오갔지만 차 기자는 아이처럼 좋아하며 허풍의 말을 적어 내려갔다. 이렇게 인터뷰를 한 지 3주가 지났다. 두 사람은 친구처럼, 연인처럼 ... ...
뚝딱뚝딱! 중생대 화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제 이 곳에서 화석 탐사를 할 수가 없어.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이야. 하지만
우리나라
에는 여기 말고도 화석을 발견할 수 있는 곳이 매우 많다고 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이번 주말에는 가족들과 화석 탐사를 떠나는 건 어떨까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이라는 위대한 수학 교재를 탄생시켰다. 끊임없는 연구와 토론 덕분이었다.
우리나라
에 이런 부르바키와 꼭 닮은 중학생들이 있다. 영훈국제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2010년 12월 기말고사가 끝난 어느 날, 영훈국제중학교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학책을직접 만들어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