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얻을 기회도 많이 있어 보인다.양자암호가 도청이 불가능한 이유는? 양자암호기술은 20
세기
에 출현한 양자역학의 핵심적인 원리를 이용한다. 이 점 때문에 암호에 쓰이는 양자정보는 기존의 디지털정보와 차이가 있다.디지털정보는 0과 1로 나타내지는데 비해, 양자정보는 0과 1 뿐만 아니라 0과 1이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기행’ 은 몇년 전부터 시작됐다. 지난 2000년 한 방송사의 특강에 강사로 나선 그는 21
세기
는 여성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주장해 여론의 주목을 받았다. 생물학적으로 여성이 우월함을 공적인 자리에서 선언한 것이다. 최 교수는 이어 ‘여성시대에는 남자도 화장을 한다’ 는 책을 통해 남성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발전하고 있었다. 이 시기의 추위는 영거 드라이아스보다 극심하진 않았으며 약 1
세기
동안 지속됐다. 그러나 그때의 추위가 만약 현재 일어난다면 재앙과도 같을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3. 중세시대의 더위약 1천년 전인 중세시대에 기온이 갑자기 높아졌다. 당시의 더위는 이전보다 덜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만들어 인체에 해롭지 않은 생분해성 섬유도 건강용 스마트 섬유로 주목받고 있다. 21
세기
신섬유로 각광받고 있는 폴리유산(PLA) 섬유는 옥수수를 원료로 만든다. 이는 흡수성 봉합사나 인공피부에 이용되고 있다. 2002년 미 카길 사와 도우 사는 연간 14만t의 PLA 생산 공장을 가동한 것을 시작으로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관계로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알게 해줬고, 이는 곧 공존을 중요하게 여기는 21
세기
의 새로운 생명모델의 바탕이 되고 있다. 티스푼 하나만큼의 흙에도 유전적으로 서로 다른 미생물이 수만가지나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한 움큼의 흙을 들어 올려보자. 그리고 눈에 보이지는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줄 수 있는 진도 VIII 이상의 지진만도 40회에 이른다.“조선시대 초기와 중기인 15-18
세기
4백여년 간 한반도에서는 지진활동이 매우 활발했습니다. 미국의 저명한 지진학자인 리히터 교수는 저서 ‘기초 지진학’ 에서 지진활동이 낮은 지역에서 이례적으로 지진이 빈발한 예로 들고 있을 정도죠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다소 생소하게 들리지만, 실제로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하다.그래프로 풀린 수수께끼 18
세기
독일 쾨니히스베르크에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수수께끼가 하나 있었다. 쾨니히스베르크에는 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프레겔 강이 있고 그 강에 크네이포프 섬이 있다. 그리고 이 섬과 시를 연결하는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우울증의 중요한 증세 중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1
세기
를 우울증의
세기
라고 예측한 바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가 가장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나라는 다름 아닌 물질문명이 최고로 발달한 미국이다. 더불어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자살률이 가장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잘 튀지 않는 이유는?탁구공이 바닥에 충돌하는 짧은 시간 동안 탁구공에는 일정한
세기
의 충격이 가해진다. 보통 탁구공은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바닥과 충돌하면 충돌에 대한 반작용으로 튀어 올라간다. 하지만 탁구공 속에 물이 들어 있으면 탁구공이 바닥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 물에 골고루 ... ...
7백23만자리 소수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번에 확인된 소수는 41번째 발견된 ‘메르센 소수’. 희귀 숫자 연구에 몰두했던 17
세기
프랑스 수도사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것으로 n이 소수일 때 ‘${2}^{n}$-1’ 을 해서 나오는 소수를 가리킨다. 3, 7, 31, 127 등이다.핀들리는 전세계 PC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메르센 소수를 찾아내는 프로젝트(GIMPS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