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항성이 태어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독수리성운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18
세기
스위스의 천문학자 슈조. 1746년 그는 별들의 무리인 성단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는 이곳에서 성운을 보지 못했다. 성운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시에다. 그는 1764년 이 성단이 뿌연 빛들에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다 광전관이나 광전지에 필터나 단색화장치를 조립하여 용액 등의 흡수계수 · 산란
세기
· 형광 등의 측정에 쓰이는 분광광도계 빛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소자의 총칭 각종 광전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광전관·포토다이오드·포토트랜지스터·광도전소자(光導電素子) · 광전지 · 태양전지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셈이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자기장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세기
가 급격히 줄기 때문에 센서가 인체에 최대한 가까워야 한다. 또 생체자기장은 자동차, 엘리베이터 등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외부 자기신호에 비해 매우 약하다. 때문에 자기잡음을 차단한 차폐실 안에서 측정해야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나노기술의 선봉에 선 이 단장에게 또 한번의 기회가 찾아왔다. 1999년 나노기술 관련 21
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공고가 났던 것. 10년간 1천7백억원이 투입되는 거대한 프로젝트였다. 이 단장은 자신의 비전이 한 기업을 넘어 국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했다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때 그 자리에서 이 이론을 검증해줄 현상 3가지를 직접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세기
동안 일반상대성이론이 제시한 현상 4가지가 여러차례 평가를 받아왔다. 실험이 점점 정밀해지면서 실험결과는 그의 말처럼 ‘맞을지도 모른다’ 에 무게를 점점 실어줬다.현상1 별빛은 ... ...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로버트 트리버스가 다윈의 명저 ‘인간의 유래와 성에 관련된 선택’ 의 출간 1
세기
를 기념하는 책에 게재한 논문에서 나왔다. 트리버스는 자식을 기르는데는 별로 투자하지 않는 성에서 배우자를 얻기 위한 경쟁이 더 치열하게 벌어진다고 주장했다. 자식을 더 잘 돌보는 성은 자식을 돌보지 않는 ... ...
아킬레스와 헬레네는 상상 속 인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비롯한 수많은 영화의 단골 소재인 이 얘기는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여기에 수
세기
동안 여러 전문가들이 도전했다.일리아스에 따르면 트로이는 에게해와 흑해 사이의 다르다넬스 해협 근처에 있던 철통같은 요새였다. 1870년대 독일의 고고학자 하인리히 쉴리만 박사는 이 해협에서 수km 거리에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다음해인 1961년 미시간대 프랑켄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물질에 들어가는 입사광의
세기
에 비례하는 흡수∙발광 등 일반 현상 외에 이에 비례하지 않는 여러가지 비선형현상이 발견된 것이다. 이런 현상은 결과적으로 물질이 갖는 새로운 기능과 특성뿐 아니라 새로운 분광법을 출현시켰다.“빛은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찾아내 신약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시작됐고, 2000년대 들어서는 과학기술부 21
세기
프론티어사업단의 하나로 자생식물 이용기술 개발사업단이 출범했다.조상의 민간요법이 현대 생명과학기술을 통해 ‘첨단 동의보감’ 으로 활발하게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다.살아있는 개구리를 입에 문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칩 속에 국회도서관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는 나노 소자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21
세기
를 나노과학의 시대라 부르는 이유를 실감할 수 있다.10억분의 1m, 물질의 근본을 이루는 원자들의 세상이다. 1981년 스위스 IBM연구소의 물리학자 게르트 비니히와 하인리히 로러가 STM을 발명하기 전까지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