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높이로는 세계에서 세 번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은 미국과 일본에 이어 2014년, 세계 세 번째로 광격자 시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한번 도전해보자는 생각에 이원규 표준연 시간표준센터 책임연구원에게 연락했다. “절대 안됩니다.”그는 단호하게 거절하며 “와서 보면 알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 여겼던 바둑에서 인공지능이 프로기사를 상대로 이기는 장면을 전 세계가 목격했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가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뛰어넘을 거라고 예측한 것보다 10년 정도 빠른 시기였죠. 지능뿐만이 아닙니다. 최근 보행로봇을 개발하는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2014년, 해당 연구소의 수학자 일란 바르디는 이스케이프 휠이 없는 기계식 진동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스마트폰이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요즘, 기계식 시계는 어찌 보면 쓸데없지만 놀랍도록 독창적이다. 당장 실용적으로 보이지 않아도 결국에는 쓸모가 많았던 수학처럼 기계식 시계의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느끼는 로봇팔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돼 왔어요. 하지만 ‘로봇팔이 느낀 감각을 어떻게 사람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었죠. 그러던 2016년 10월,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로버트 가운트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로봇팔의 촉감을 사람에게 전달하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예르미타시 박물관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심이 많아 열정적으로 작품을 수집했기 때문이지요. 그 결과 프랑스를 제외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프랑스 작품을 보유한 박물관이 되었답니다. 안으로 들어가자 빨간 벽을 배경으로 환한 조명을 받은 작품들이 보였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작품들을 차근차근 둘러보며 그림에 대한 생각을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건축가가 로마 제국 건설을 위해 쓴 책 ‘건축 10서’에서 ‘도시나 건물의 설계는 세계의 축소판인 인체의 비례에 따라야 한다’고 언급한 것을 레오나르도가 데생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당대의 또 다른 작가가 그린 인체비례도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레오나르도가 인체에 대한 관심이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도하기 위해서는 결국 개인에게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다. 아마존은 2000년대 초 세계 최초로 협업 필터링 기술을 이용해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엔진을 개발했다. 고객들이 상품정보를 읽기 위해 상품명을 클릭한 횟수, ‘좋아요’를 누른 횟수, 상품 구매 후 남긴 평가 등 다양한 종류의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마스터카드는 조만간 지문 인식 장치를 내장한 신용카드를 전 세계에 출시할 계획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시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카드의 오른쪽 상단에는 작은 센서가 부착돼 있고, 지문으로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돼야만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용될 재료나 장비를 검증하기 위해 우주 환경을 그대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장비도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 ‘더티 진공 챔버(Dirty Vacuum Chamber)’에서는 달, 화성 등 지구 이외 우주 공간의 먼지, 온도, 방사선량 등을 똑같이 모사해 재료의 사용 가능성과 내구성을 평가한다. 신휴성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경우의 수가 무한대”라며 “하나의 칩에서 여러 조건을 동시에 실험하는 바이오칩은 세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는 새로운 기술”이라고 말했다. 바이오칩 개발에는 신 연구원의 공이 컸다. 처음에는 칩에서 세포가 자라는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전기자극을 주기 위해서 반도체 재료를 이용해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