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뉴스
"
사슬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사람은 의견을 교환했고 스몰리 교수의 장비가 크로토 교수가 성간 구름에서 관측한 긴
사슬
의 탄소화합물 같은 유형의 분자를 제대로 검출할 수 있는지 테스트해보기로 했다. 이듬해 9월 흑연을 증기로 만들 때 나오는 화합물을 분석했고 천체관측에서 보이는 탄소원자 7~12개 길이의 분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과정을 거쳐 인트론이 제거되고 남은 엑손의 정보에 따라 리보솜에서 아미노산
사슬
이 만들어진다). 그럼에도 염기 하나가 바뀌면서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열세 번째 엑손을 포함해 열네 번째 인트론까지 통째로 잘려나갔다. 그 결과 중간에 아미노산 52개가 없어진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졌다. ... ...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12.05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황 분자가 고리를 이뤄 리튬과
사슬
형태로 연결되는 부위가 많아지면서 전하를 띤 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독립적으로 일어났다. 그리고 육식동물들은 상대적으로 종의 존속기간이 짧았다. 즉 먹이
사슬
의 위에 있다 보니 개체수가 적어 게놈 다양성이 떨어져 멸종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거기에 사람까지 가세하다보니 오늘날 대형 고양잇과 동물은 다들 멸종위기에 몰려있는 신세다. 그렇다면 왜 고양잇과 ... ...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11.01
0년대 초, 카테네인이라는 분자를 합성하면서 시작됐다. 카테네인은 두 개의 고리가 마치
사슬
처럼 서로 수직으로 맞물려 있는 구조로, 원자들이 공유결합이 아닌 기계적 결합으로 연결돼 있다. 독특한 구조를 지닌 데다 합성이 쉽지 않았다. 많은 화학자들이 합성에 도전했지만, 여러 단계를 거쳐야 ... ...
사망까지 이르는 ‘뇌 염증’ 원인 밝혔다
2016.10.25
먼저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해 iPS세포를 만들고, 이 iPS세포에 긴
사슬
지방산을 축적해 부신백질이영양증의 병리현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병의 발생을 실험실에서 자유롭게 조작하고 관찰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다양한 연구가 가능해진 셈이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 ...
[2016 노벨 물리학상] 평평한 2차원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현상
2016.10.05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양자홀 유체와 자성을 띄는 원자의
사슬
모두 이 새로운 유형의 위상상태에 포함된다. 이후 연구자들은 일차원 실이나 이차원의 얇은 판 구조뿐만 아니라 3차원 구조를 갖는 물질에서도 몇 가지의 새로운 위상 상태를 발견했다. 위상 절연체, 위상 ... ...
킬러 IP 확보에 사활을 걸어라
2016.09.23
애니메이션 IP 가치
사슬
● IP 가치 극대화 위한 체계적 노력 필요 IP를 활용한 가치
사슬
을 극대화하려면 무엇보다도 IP의 원천이 되는 애니메이션 및 중심 캐릭터의 생명력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디즈니의 캐릭터들, 일본의 캐릭터들에 비교해 볼 때 한국의 캐릭터 ... ...
‘회색 곰이 소를 사냥하는 장면’ 촬영돼
2016.08.26
팝뉴스 제공 자연의 먹이
사슬
위계는 자비를 모른다. 살기 위해 잡아먹어야 한다. 곰도 덩치가 큰 소라도 사냥해 먹어야 한다. 먹지 않으면 자신 그리고 새끼들도 죽을 수 있다. 영상은 7일 미국 와이오밍 크랜들에서 촬영되었다. 낚시하러 차를 몰고 가던 남성이 길가에서 회색곰이 소 한 마리를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상호작용을 전기적으로 조절해 입자들이 떼를 지어 이동하거나(c) 촘촘하게 모이고(d),
사슬
모양(b)을 이루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 - 네이처 머티리얼스 제공 약물의 부작용은 인체에 투여했을 때 실제 아픈 부위 외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런 가운데 전기적인 힘을 이용해 약물의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