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뉴스
"
사슬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속 1200km로 이동하는 은하계 가장 빠른 별 발견
2015.03.08
가이어 박사는 “
사슬
로 연결된 회전목마를 탔는데 이 회전목마가 돌다가 갑자기
사슬
이 끊어져버리면 어떻게 될지 상상해보라”며 “당신이 앉은 자리가 이미 빠른 속도를 내고 있었기 때문에 당신은 멀리 날아가 버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초신성 폭발과 주위 별들의 ... ...
2㎛ 몸 속에 2mm 염색체, 어떻게 들어있을까
2015.02.23
고분자
사슬
(보라색)과 단백질(붉은색)을 하나의 독립된 단위체로 확인해 염색체의 응축현상을 설명한 그래픽. KISTI 연구팀은 염색체가 세포 속에서 스스로 형태를 접어가며 다른 물질들의 공간을 확보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우리나라 연구진을 포함한 국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사라진 곳에 늑대를 들여와 복원시키는 사업까지 하는 건 최상위 포식자의 자리인 먹이
사슬
의 꼭대기가 채워져야 생태계의 균형이 이뤄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 모든 동식물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는 지난날의 오만함에 대한 반성도 한 몫 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네이처’(3월 13일자)에는 ... ...
으르렁~ 포식자가 돌아왔다
2015.01.23
등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 상위 포식자는 생태계 ‘수호자’ 먹이
사슬
에서 상위 포식자를 복원하는 프로젝트는 세계 각국에서 꾸준히 진행돼왔다. 멸종 위기에 처한 특정 종을 복원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상위 포식자가 생태계를 지키는 ‘수호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
이통 3社도 “새로운 판을 짜라” IoT 본격 경쟁
동아일보
l
2015.01.05
아이리버를 인수하는 등 ‘IoT 대전(大戰)’을 치를 준비를 차근차근 해왔다. IoT 가치
사슬
의 핵심으로 꼽히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사업을 강화, 확대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SK텔레콤은 2012년 자체 IoT 플랫폼을 상용화한 데 이어 정부의 개방형 IoT 플랫폼 과제인 뫼비우스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 ...
자석으로 DNA 이중나선 10분 안에 푼다
2014.12.29
있는 DNA를 풀어낸 뒤 나노구조를 만드는 방법 대신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DNA
사슬
한쪽 끝에 자성(磁性)을 띤 물체를 부착하고 다른쪽 끝을 유리판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런 뒤 한쪽 끝에 자석을 갖다 대면 자석의 힘으로 DNA가 풀어진다. 이 방법을 이용한 결과 연구진은 10분 이내에 DNA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구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에델만은 항체의 구조를 연구했는데, 항체가 무거운
사슬
(H)과 가벼운
사슬
(L)로 이루어진 ‘Y’자 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업적으로 항체의 항원결합자리 구조를 밝힌 로드니 포터와 공동으로 197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면역학을 연구하면서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전공했다. 이 책에는 공룡의 역사는 물론 진화, 공룡의 장기, 공룡의 생태나 먹이
사슬
까지 생생하고 정교한 삽화로 표현하고 있다. 참고자료의 독특함도 빼놓을 수 없다. 공룡의 진화 지도와 공룡학의 선구자와 향후 발전방향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어 공룡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 ...
신기하네~ 열 전달하는 플라스틱
2014.12.07
열이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통로’를 만들 수 있었다. 기존 플라스틱은 각 고분자
사슬
들이 길고 느슨하게 결합돼 있어서 열이 잘 전달되지 않았다. 이렇게 만든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보다 수소결합력이 10~100배나 강력했으며 실제로 열을 10배나 잘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 ...
거부반응 2개 억제한 돼지 장기, 원숭이에 이식 성공
2014.11.04
사슬
을 인식해 공격을 시작한다. 사람의 세포에는 당
사슬
이 없기 때문이다. 지노는 당
사슬
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로, 이식 후 몇 분 내로 나타나는 초급성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믿음이는 여기에 이식 후 며칠 안에 나타나는 급성 거부반응을 인식하지 못하게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