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전투태세 수학으로 완전무장!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중에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상황을 판단할 때도 수학이 쓰인다. 뿐만 아니라 현대 첨단 기술이 접목된 각종 무기는 수학 없이 만들어질 수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투태세 수학으로 완전무장!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레이더는 전파를 내보낸 뒤, 반사돼 돌아오는 전파를 가지고 목표물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에게 공격을 많이 당한 영국군은 독일군의 비행기를 탐지할 레이더를 설치하기로 했다. 모든 곳에 설치할 수 없으니, 한정된 개수의 레이더로 가능한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 ...
- [과학뉴스] 혈당과 안압, 콘택트렌즈로 한 번에 본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혈당과 안압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당뇨병과 녹내장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용 센서를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혈당 측정은 작은 침으로 피를 뽑아서 하는데, 눈물로도 측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결정 구조를 분자 수준에서 관찰하기 위해 ‘전자 후방산란 회절’ 기술을 이용했다. 이 기술은 전자현미경으로 전자빔을 발사해 시료 뒤쪽에 만들어지는 회절 형태로부터 시료의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분석 결과, 눈송이의 결정 구조는 중심부 물 분자 주변을 다른 여섯 개의 물 분자가 감싼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심장이나 간 자체를 만들어 이식할 수 없듯 현재 과학 기술로는 자궁을 완전히 대체하는 기술을 만들기 어렵다”며 “인공자궁은 조산아를 살리기 위한 연구 그 자체로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 임신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스티로폼을 만드는 폴리스티렌(PS)을 먹고 분해한다는 연구결과도 2015년 9월 ‘환경과학기술’에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반도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 과학 기술 혁명이 가능했던 것은 반도체라는 마법의 돌 덕분이었다. 이 역시 석영으로 만든다. 반도체를 만드는 소재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석영에 들어 있는 규소가 대표적인 재료다. 규소는 자연 상태로는 잘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량의 루비듐 원자로 이뤄진 기체를 레이저냉각(1997년 노벨 물리학상)과 자기증발냉각 기술로 170nK(나노켈빈, 1nK은 10억 분의 1K)까지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의 특성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네 달 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볼프강 케테를레도 나트륨 원자를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급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주변의 에너지원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떠올렸다”면서 “특히 정전기 현상을 이용한 나노발전기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번개구름을 흉내 내서 만든 ‘고효율 나노발전기’다.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번개가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세포에 일대일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지나치게 소모됐던 연구 자원이, 조기진단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더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옥찬영_ock.chanyoung@g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 및 내과 전공의 수료,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근무 중 1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