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대답한다. 양자 세계에서 입자는 동시에 파동이기 때문에, 물리학자는 입자의 상태를
기술
할 때 위치나 속도보다는 ‘파동벡터’라는 개념을 이용한다.파동벡터 공간은 우리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수학적, 추상적인 공간이다. 3차원 고체가 있다면 이 파동벡터가 존재하는 수학적 공간 역시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우려해.최근에는 관련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서 다행이야. 이교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
기술
대학원 교수가 여러 논문을 냈어. 특정 장르의 ‘덕후’가 높이 평가한 노래에 가중치를 줘서 그 장르에 문외한인 사람에게도 쉽게 추천하도록 하는 거지. 추천 서비스가 효율성을 넘어 다양성까지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둥둥 떠다니고 있어요.실내 오염물질을 없애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환기예요. 한국건설
기술
연구원에서는 30분 간 창문과 문을 열어 환기의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양은 약 8분의 1, 일산화탄소는 약 5분의 1 등으로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많은 과학자들에게 미세먼지는 아직 풀리지 않은 숙제예요. 특히 우리나라의 대기 현상은 연구하기가 무척 어려워요. 국토 면적이 작아서 대기가 가까운 나라들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거든요. 하지만 중국이나 북한에서 오염물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밝히지 않고 있어요. 또한 오염물질들이 육지 ... ...
[과학뉴스] 태양광 연료 구현 물질, 프로그램으로 탐색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와 캘리포니아공대 공동 연구팀은 새로운 컴퓨터 정보 처리
기술
로 광전극 후보물질을 2년 동안 12개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6일자에 발표했다.기존에 40년 동안 16개의 광전극 물질을 발견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빠른 속도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 ...
[과학뉴스]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추가 관측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연구팀은 이
기술
을 통해 향후 달탐사를 진행할 때 우주쓰레기 등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10억분의 1미터) 공정을
기술
적 한계로 보고 있다. 실리콘 소재를 활용한 전자소자
기술
발전은 한계에 달했고, 그보다 작은 세계인 양자메모리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소재가 필요한 상황이다.하인리히 교수는 “홀뮴 원자는 1nm 간격으로 배열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 그만큼 원자를 촘촘하게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신경 신호를 읽어 내서 해독하는 것은
기술
적으로 불가능하다.하지만 오늘날의 바이오닉
기술
들도 모두 상상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50년, 아니 30년 뒤에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머릿속에 다운로드 받는 것이 당연해질지도 모른다. 기억을 칩 하나에 저장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198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큰 사건으로 기억하고 있는 것 같지도 않았다.하기야, 파충류 동물을 눈빛으로 제압하는
기술
따위가 현대 사회에 무슨 큰 쓸모가 있겠는가? 길바닥에 뱀들이 널려 있어서 남녀가 같이 길을 걸을 때에는 남자가 뱀을 한쪽으로 잘 치워 주는 것이 ‘매너 있다’는 소리를 듣는 사회가 아니지 않냔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30개국 중 뒤에서 2등이다. 프란시스코 아비사티 OECD 교육
기술
부 분석가는 “여성이 연구
기술
직에 드문 것은 남녀 간 임금격차를 유지하는 원인”이라고 우려했다.남녀의 수학 성적 격차는 점점 줄어드는데 어째서 여성은 남성보다 수학과 관련한 직종을 적게 선택할까. 최근 그 이유를 설명하려는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