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6,31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04
시냅스 가소성 모델이다. 시냅스 촉진은 바다 달팽이 군소(Aplysia)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우리나라
남해와 동해 연안의 얕은 바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군소는 지금까지 알려진 생명체 중 가장 큰 신경세포를 갖고 있다. 군소의 신경계를 이용한 학습과 기억 연구는 30여년 전부터 컬럼비아대 칸델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04
강연회를 개최한다. 1992년 미국에서 시작된 이 행사는 현재 57개국으로 확산됐다.
우리나라
에서는 2002년 시작됐고, 올해는 3월 15일부터 20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공개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되는 융합적인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04
복원하는데 필요한 기록들이 사라져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박사는 “현재까지
우리나라
의 고지도를 복원할 수 있는 최고 상한선은 약 5억년 전까지”라고 말했다.당시 한반도는 적도 20도 아래 남반구에 있었다. 그런데 이 박사는 “최근에 한반도에서 초대륙 로디니아의 숨겨진 지구 역사의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04
이는 백악기 후기에 잘 알려진 공룡의 제왕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크기다. 즉
우리나라
에도 티라노사우루스에 버금가는 거대 육식공룡이 살고 있었던 것이다.맑은 호수 속에는 크기가 10cm 내외인 여러 종류의 민물고기가 또 하나의 물속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를 먹이로 삼는 익룡들도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04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다. 다행히 서울대공원에서는 최근 서울대 수의대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산양, 수달, 반달곰, 삵 등 야생동물들의 순수혈통 보전을 위해 계통분류학적 유전자연구를 수행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새로 조성되는 토종생태동물원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져야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04
존재를 밝히는데는 국제적인 규모에서 수많은 학자들이 10년 이상 가세했다. 아마도
우리나라
에서도 이와 비슷한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한반도의 대륙충돌사와 진화사에 관해 좀더 정밀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국민들의 더 많은 관심, 젊은 과학자들의 패기와 도전이 필요하다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04
동해의 형성과정을 밝히려면 많은 분야들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져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의 동해 연구 인력과 그 성과는 이웃 일본에 비해 수십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북한 바로 아래 접하고 있는 일본분지의 명칭에서 보듯이, 이름도 그들에게 선점당했다. 그나마 동해와 울릉분지의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04
분류상으로 나무딸기(raspberry)로 불리는 장미과 루버스(Rubus)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우리나라
에는 이들을 비롯, 7-8종의 나무딸기가 자생하고 있다. 한편 딸기는 장미과 프래가리아(Fragaria)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나무딸기와는 먼 친척 뻘이다.최근 복분자딸기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맛도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03
2백만달러를 지불했다. 포카리스웨트도 우주선 안에서 광고 촬영을 했다고 알려졌다.
우리나라
의 김치나 인삼도 브랜드의 세계화를 위해 과감히 투자해봄직 하지 않을까.미국의 백만장자 티토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젊은 부호 셔틀워스는 우주비행을 경험하기 위해 자그마치 2천만달러를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03
10분의 1도 못되는 생활을 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우리 연구실에 들어온 학생들이
우리나라
과학의 희망입니다.”이 학생들은 황 교수의 ‘패밀리’가 된다. 일년 내내 같이 생활하고 한솥밥을 먹고 황 교수가 학비를 해결하니 가족에 다름 아니란 것. 이 패밀리들이 세계 각지로 나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