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하루에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TV 등을 보는 시간 등을 조사하는 질문을 통해 시력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 어떤 종류가 있는지, 기사를 토대로 설명한다. ▶ 우리 두 눈은 서로 경쟁을 하는 관계라는데, 어떤 의미인지 기사를 토대로 설명한다. ▶ 뇌와 시력의 관계를 ... ...
- [가상인터뷰] 벽 타기 선수는 발이 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필요한 정보를 훔쳐 줄래?도마뱀 : 동물들이 벽을 타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능력에 대한 원리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지금도 많은 과학자들이 이를 밝혀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 과정에서 생체용 반창고나 우주 탐사용 로봇의 발바닥 등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과학 ... ...
- [헷갈린 과학] 바다표범VS바다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나와 있지 않고 대신 구멍만 뚫려 있어서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그 이유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과학자들은 귓바퀴를 통해 열이 빠져나가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보고 있어요. 바다표범의 많은 종이 남극이나 북극처럼 매우 찬 바다에 살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동물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고양이는 다른 동물에 비해 자기중심적이지만 자식에 대한 사랑은 누구 못지않아 인간과 무척 닮았습니다.고양이 왕국 이페르의 수학 천재 조르바는 엄마고양이 미미가 잃어버린 아기고양이 루나를 찾고, 인간 세상과 이페르를 잇는 길을 보호하기 위해 마법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계산했으면 수학자를 안 하지 않았을까 싶어요.공동연구를 많이 하실텐데, 각자 문제에 대한 이해 수준이 다르면 힘들지 않나요?아직 아무도 푼 적이 없는 문제를 풀려고 모여서 생각을 나누다 보면 서로 다른 관점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 의미 있어요. 같은 현상도 사람마다 다르게 보기 때문에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육은 대화를 통해 이뤄진다. 수업은 교사 혼자서가 아니라 학생들과 소통하며 해야 한다. 필자는 학생들과 소통하며 즐겁게 수업할 수 있 ... 맞춘 우봉고를 활용한 일차방정식 놀이 학습은 학생들이 수학에 자신감을 얻고,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가치관을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 [과학뉴스]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국내 연구진이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실 형태의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임정 ... 성능을 80% 이상 유지했다. 임 연구원은 “상용화를 위해서는 세탁 등 외부 자극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로보어드바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로보어드바이저는 어떨까요? 아직 금융 위기를 겪은 적이 없고 한국 금융 상황에 대한 데이터도 충분히 쌓이지 않았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 투자 자문을 받을 순 있지만, 직접 매수나 매도를 맡길 수 없다는 규정이 있는 이유입니다 ... ...
- [과학뉴스] 국내 첫 ‘오랑우탄 거울실험’, 다큐로 나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간만이 보유한 것으로 여기던 특성(인격체)을 가진 동물들을 어떻게 바라봐야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번 다큐멘터리는 크라우드펀딩으로 후원자 160여 명에게 508만 원을 모아 제작됐다. 남 기자는 “3월 25일 시사회를 마친 뒤 환경영화제 출품을 거쳐 유튜브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 연구를 인용한 다른 연구들의 신뢰성도 위협받고, 궁극적으로는 과학 자체에 대한 불신이 높아질 수 있다. 잘못된 자료 분석이 ‘사고’낸다재현성 문제의 원인은 다양하다. 최근 주로 지적되는 것은 잘못된 자료 분석 관행이다. ‘영가설 유의성 검정(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NHST)’으로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