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77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첫 상용 큐브위성 영상 수신 최초 성공…나라스페이스, 사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9
수행한 세계 첫 사례"라고 밝혔다. 29일 공개한 부산의 위성사진에는 직사각형
모양
으로 튀어나온 부산항 부두와 해안선의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주요 건축물은 물론 해상에 떠 있는 주요 선박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나라스페이스는 "위성영상의 해상도는 향후 시스템 최적화 과정 등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뒤 생쥐의 두뇌를 관찰했다. 뇌척수액은 목 안쪽 점막 내에 있는 말 안장을 뒤집어놓은
모양
의 림프관망으로 모여들었다. 이후 목 림프관을 경유해 목 림프절로 배출됐다. 배출량은 앞서 2019년 확인한 두개골 후측방을 통해 배출되는 뇌척수액의 양보다 1.8배 많았다. 비인두 림프관망이 뇌척수액 ... ...
겨울철 피부 스트레스 '건선', 병변 없을 때도 관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피부의 면역세포들을 정교하고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선 진단은 발진
모양
, 부위, 병력 등을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붉은 발진과 함께 하얀 각질이 겹겹이 쌓이며 심해지면 전신을 뒤덮기도 한다. 다른 피부병과 구분이 필요할 땐 조직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 ...
극한 환경에도 작동하는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온도에서도 자외선과의 광화학적 반응을 통해 고품질의 산화 지크로늄(ZrO2)막과 빛으로
모양
을 만드는 광패터닝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나아가 연구팀은 해당 기술로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작했다. 제조된 저항 변화 메모리는 1000회 이상 반복해 정보를 바꿔도 메모리 동작의 문제가 ... ...
[과기원NOW] 땀·털·각질 영향 덜 받는 ‘웨어러블 로봇’ 등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교수 공동연구팀이 2차원 실리카 나노 시트의 모서리간 상호작용을 제어해 축구공
모양
조립체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안게반테 케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2차원 나노 소재 ‘모서리-모서리’ 조립 기술을 개발해 기존의 ‘평면-평면’ 조립과 달리 2차원 나노 시트의 ... ...
英 핵융합 실험장치 'JET'40년 만에 해체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최대 규모 핵융합 실험로가 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는 둘 다 '토카막' 장치로 도넛
모양
의 핵융합 장치다. 제트는 프랑스 ITER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해왔다. 제트를 통해 ITER에 어떤 재료나 연료를 사용할지 가늠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제트에 앞서 핵융합 장치가 해체된 것은 1997년 ... ...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는 시민과학자가 되어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3
제비꽃은 잎
모양
도 계속 변한다. 특히 털제비꽃의 잎은 원 또는 계란
모양
에서 하트
모양
또는 넓은 삼각형으로 변한다. 산에 여러 번 오르며 제비꽃의 변화를 관찰하는 재미가 있다." Q. 제비꽃은 얼마나 다양한가. A. "제비꽃은 전 세계적으로 660여 종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중 우리나라에 ... ...
전력 덜 쓰는 반도체 나올까…금속서 '극성'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플렉소 전기장을 발생시켰다. 루테륨산 스트론튬은 스트론튬과 산화루테륨의 서로 다른
모양
의 결정이 같은 방향으로 성장하며 중심 대칭 구조를 갖는 ‘이종구조 에피택시’ 물질이다. 플렉소 전기장은 루테륨산 스트론튬 내 전자 상호 작용과 격자 구조를 변화시켰다. 그로 인해 금속의 ... ...
[잠깐과학] 1861년 1월 15일, 승객을 위한 안전한 엘리베이터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0
반으로 접혀 있다가 밧줄이 끊어지거나 느슨해지면 펼쳐집니다. 펼쳐진 지지대는 톱니
모양
의 벽에 걸쳐지고 엘리베이터는 한 번에 추락하지 않고 적정 위치에서 멈출 수 있었습니다. 1854년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엘리베이터를 선보이는 엘리샤 오티스(왼쪽), 엘리베이터 설계도. 퍼블릭 ... ...
인공위성 '빛 공해'에 자구책 마련 나선 천문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함께 촬영된다. 최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연구원은 "천체망원경은 천체의
모양
을 선명하게 담기 위해 천체가 움직이는 속도를 쫓아가며 촬영하는데 인공위성이 촬영되면 화면에 흰 선이 그려져 방해가 된다"며 "위성이 움직이는 속도가 천체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