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당구공으로 '양자적 혼돈' 비밀 밝혀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정의하는 양이다. 연구팀은 복잡도를 활용해 경기장
모양
의 당구대에 존재하는 당구공의 양자역학적 동역학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시간의 흐름과 양자 상태에 무관한 기존의 양자 혼돈 판단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양자 혼돈의 본질을 보다 정확하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생겨도 밴드를 붙이는 것은 그 부위로 병균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상처 부위가 원래의
모양
처럼 잘 아물게 하기 위해서다. 수백년 전에는 밴드 대신 나뭇잎이나 천으로 가리기는 했지만 상처가 큰 경우에는 뜨거운 기름을 붇거나 인두 등을 이용하여 불로 지져 혈관을 막아 버렸다. 언제부터 뜨거운 ... ...
[표지로 읽는 과학] 양자컴 '큐비트' 오류율 낮추는 IBM의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4.03.30
실렸다. 원환면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이 회전하면서 만들어진 곡면으로 쉽게 ‘도넛
모양
’을 떠올리면 된다. 각 큐비트가 6개의 다른 큐비트와 상호작용해 오류를 수정하는 프로토콜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이미지다. 큐비트는 원환면 위에 놓인 상태인 것처럼 작동해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 ...
핵막 터져서 세포 죽는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40%로 기존 세포 사멸 방법과 비슷하거나 높았다"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정상 세포는 핵
모양
의 변화를 최소화해 질병을 예방하고 질병 세포에서는 캐리옵토시스를 유발해 질병과 암을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캐리옵토시스는 연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라며 "이번 ... ...
탈모 치료, '사랑의 호르몬'에 계피 첨가해 효과 '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모발을 성장시키는 기능을 살폈다. 분석 결과 모낭에선 모발의 성장에 관여하는 줄기
모양
의 구조가 1.25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전 옥시토신만을 사용해 모발 성장을 촉진했을 때 1.3배 증가한 것 보다는 약간 낮은 수치지만, 모발 성장 효과 자체는 비슷한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후속 연구에선 ... ...
조용히 차 따르려면…커피와 차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03.23
한다. 마랑고니 흐름은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생긴다. 판 위에 떨어진 물방울의
모양
을 떠올려보자. 물은 표면장력이 강한 액체라, 물방울은 반구 형태를 이룬다. 이때 물은 가장자리부터 증발하는데, 그러면서 반구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물 분자와 그 속의 불순물까지도 물방울 가장자리로 ... ...
제17회 아산의학상에 이창준 소장·김원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소장은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역할로만 알려졌다. 별
모양
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 연구로 치매, 파킨슨병 등 난치성 뇌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임상의학부문 수장자인 김원영 교수는 20여 년간 응급의학과 전문의로 일하며 심정지, ... ...
뒷마당 사는 곤충에게 얻은 '투명 망토'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흡수됐다. 반사되는 빛은 파장에 따라 80~94%까지 감소했다. 연구팀은 브로코솜의
모양
이 새나 파충류처럼 자외선 시력을 가진 포식자의 가시성을 감소시키고 가시광선을 산란시켜 잠재적 위협에 대한 방어막을 만드는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브로코솜이 태양에너지 ... ...
100만달러 상금 걸린 수학난제 실마리 찾은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인터뷰에서 “타원곡선에서 특정 두 개의 그래프가 각자의 위치에서 오르락내리락하는
모양
을 띤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그래프의 위치가 크게 서로 뒤바뀐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2022년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논문을 실었다. ... ...
목 근육 움직임 음성으로 변환하는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근육도 움직여 패치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고안했다. 근육이 움직일 때 구리 코일의
모양
이 바뀌면서 자기장이 변해 생기는 유도 전류로 근육의 움직임을 포착한다. 근육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외부 전원은 따로 필요없다. 연구팀은 성대가 내는 소리에 따라 움직이는 후두 근육의 움직임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