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뉴스
"
튜브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성하 전문기자의 休]영하 36도 밤하늘… 신들의 축제가 시작됐다
동아일보
l
2016.02.27
1212km). 한겨울 치페위안 겨울도로 개방 때만 가능. 2박 3일 소요. 유
튜브
영상 ‘하이웨이가 끝나는 곳(Where the highway ends: Road to Yellowknife)’ 참조. 오로라: ◇예보(영어): http://astronomynorth.com ◇관광: 옐로나이프의 오로라빌리지(www.auroravillage.com)에선 공항 도착부터 출발까지 체류 내내 숙식과 투어 등 전 ... ...
충전량 10배 더 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기술 개발
2016.02.17
어려웠다. 김 교수팀은 루테늄산화물(RuO2)과 망간산화물(Mn2O3) 같은 첨단소재를 섞어 나노
튜브
구조로 만들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촉매를 만들었다. 김 교수는 “충전과 방전에 필요한 이상적인 촉매 구조를 지녔다”며 “생산 공정이 손쉬워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1993년]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2016.02.12
중첩의 원리를 따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두 광선이 완전히 상쇄되게 한 상태에서 L자
튜브
의 가로 세로를 고정시키면 실험장치는 완성된다. 이제 남은 일은 중력파가 지나가기를 바라며 기다리는 일 뿐이다. 행운의 여신이 미소를 지으며 다가와 마침내 중력파가 A와 B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고 가정해 ... ...
[서울대 물리학과 편]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02.01
일을 하고 있는 그들에게 왜 현재의 일을 시작하게 됐느냐고 물었다. “원래 나노
튜브
를 연구했는데, 이의 연장선상으로 그래핀이라는 평면 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을 단 한 장의 평면으로 분리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었죠. 몇몇 그룹이 그 연구를 했는데, 당시엔 그 ... ...
그래핀에 구멍을 왜 뚫을까요?
2016.01.25
이종원소(파란색)를 도핑하면 그래핀(회색) 벽에 세로로 홈이 생기고 이어 탄소나노
튜브
가 세로로 길게 잘라진다. 이는 종이에 구멍을 내고 찢는 과정과 유사하다. - KAIST 제공 한편 연구팀은 실제로 이 기술을 적용해 나노그래핀을 오려 슈퍼 커패시터(고용량 축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 ...
‘기후의 수호자’부터 ‘명왕성 사냥꾼’까지
2015.12.27
의수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과학저널 ‘사이언스’ 10월 16일 자에 소개됐다. 탄소나노
튜브
로 만든 이 전자피부는 압력을 전기신호로 받아들여 빛 신호로 변환해 신경세포로 전달한다. 네이처는 바오 교수의 성과를 ‘전자 기기와 인체를 연결한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식물과 포유 ... ...
1g에 120만 원? 초고가 첨단소재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12.23
질화붕소나노
튜브
(BNNT)의 구조.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1g당 120만 원이 넘는 고가에 거래되는 첨단 소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 ... 분야 해외시장 공략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탄소나노
튜브
(CNT)와 질화붕소나노
튜브
(BNNT)의 특성 비교. - 한국원자력연구원 ... ...
구멍 ‘송송’ 뚫린 新액체 개발
2015.11.15
사실을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제임스 교수는 “다공성 액체는
튜브
를 이용한 공정이나 표면을 얇게 코팅하는 공정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보다 사용범위가 넓다”며 “추가 연구를 진행하면 기존엔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화학공정이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 ...
값비싼 나노 촉매 10분의 1 값에 만든다
2015.10.27
“이번에 만든 촉매가 탄소분자를 한데 뭉친 ‘담지체’ 형태라는 점에서 탄소나노
튜브
, 산화그래핀, 티타늄이산화물 등 다양한 물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연료전지 같은 전기화학 변환장치의 촉매와 센서, 광촉매 등 여러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 ...
‘톡톡’과 ‘꾹꾹’ 압력 차이 구분하는 인공 피부 나왔다
2015.10.18
전기를 만든다. 압력이 강하면
튜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전기가 많이 흐르고 약하면
튜브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전기가 약하게 흐른다. 인공피부의 아랫면은 압력으로 생긴 전기신호를 신경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아랫면을 실제 신경세포(뉴런)와 연결하고 압력을 주자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