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뉴스
"
튜브
"(으)로 총 37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키메데스의 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8.01
그의 교구로는 뫼비우스의 띠, 반으로 자르면 뫼비우스의 띠가 나오는 클라인 병,
튜브
모양의 토러스(Torus) 등 수학 원리를 토대로 한 작품을 만들 수 있다. 그는 “수학 원리를 이용하면 누구나 멋진 예술품을 제작할 수 있다”면서 “수학 원리가 담긴 작품을 만드는 일은 교육적으로도 활용도가 ... ...
“겨울철 교통지도 하는 어머니 보면서 ‘발로 부는 호루라기’ 떠올려”
과학동아
l
2014.07.24
있었어요. 발로 밟는 펌프를 써 봤지만 너무 무겁고 가격이 비싼 게 문제였죠. 이때
튜브
에 바람을 넣을 때 쓰던 작은 펌프가 눈에 들어왔답니다.” 이 펌프를 이용해 호루라기에 바람을 불어넣는 도구는 해결했지만 더 큰 문제가 있었다. 막상 써보니 입으로 부는 호루라기보다 발로 부는 ... ...
콩 심은 데 콩 나고, 그래핀 심은 데 그래핀 난다
과학동아
l
2014.07.15
쌓여 흑연이 되는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 다음 연구 과제”라고 설명했다. 탄소나노
튜브
를 파쇄해 만든 그래핀 분말을 플라스마 CVD 장치에 넣으면 그래핀 시트가 만들어진다. - KIST ... ...
당신의 ‘파도 지수’는 몇 점?
과학동아
l
2014.06.27
푸른 바다를 가르고 해안에 부딪히는 흰 파도는 피서의 상징이다.
튜브
를 몸에 끼우고 파도를 타고 있노라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하지만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이나 충남 대천해수욕장에 갔다면 이안류를 조심해야 한다. 초속 2~3m의 빠른 속도로 먼 바다로 밀어내는 이안류는 ‘마린 보이’ ... ...
자동차를 수소로 달리게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25
수소를 가두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표면적이 큰 탄소나노
튜브
를 수소 저장용기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장용량뿐 아니라 수소 방출 속도도 쉽게 제어할 수 있어 차세대 저장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27일 오후 6시 3 ... ...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
과학동아
l
2014.06.20
가가린의 한 끼는 소박했다. 우주에 머물렀던 1시간 48분 동안 가가린은 160g 용량의 치약
튜브
처럼 생긴 용기 3개에 담아 온 다진 고기와 초콜릿소스를 짜 먹어야 했다. 1970년대 미국의 아폴로계획에 따라 8일간 지구와 달을 왕복했던 우주인들은 냉동식품을 먹었다. 맛보다는 생존을 위한 음식이 ... ...
속 빈
튜브
에 햇빛을 가두다
과학동아
l
2014.06.19
나노구조.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짧은 나노막대(SiNR-1), 긴 나노막대(SiNR-2), 나노
튜브
(SiNT), 나노콘(SiNC) 구조의 전자현미경 사진 - 광주과학기술원(GIST) ... ...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겪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산화·환원 효소를 탄소나노
튜브
시트 표면에 고정시킨 다음 이를 꼬아 실 같은 형태의 전극 섬유를 만들었다. 이 섬유로 직물 형태의 생체연료전지를 만들면 유연하면서도 강한 특성을 확보하게 돼 카테터, 스텐트 등 의료용 기구 개발이 한결 ...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
튜브
가 나선형이라니
과학동아
l
2014.06.09
특성을 제어할 수 없었던 이유는 구조상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탄소나노
튜브
로는 전자소재를 만들 수 없다”고 설명했다. 대신 그는 “원통형일 때는 90도 이상 구부러질 수 없지만 나선형은 좀 더 자유로운 가공이 가능하다”며 “고강도 복합소재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각각의 선이 막대 모양으로 선명하게 구분돼 잘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탄소나노
튜브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최 센터장은 “광섬유로 이뤄진 내시경과 원리가 비슷하다”면서 “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