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효소 조절하는 ‘마그네슘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이외에 철, 구리 등 다른 인체 내 금속이온과 어떤 상호과정을 일으키는지를 조사했다.
형광
물질을 이용해 마그네슘이 세포와 반응하는 과정을 일일이 살펴보고, 컴퓨터 분자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그 과정을 추적했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몸속 대표적인 두 개의 마그네슘(MgA2+, MgB2+) ... ...
평생 '반핵'을 주장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모무라 오사무 교수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안목과 학자로서의 끈기 덕분이었다”고 회상했다. 챌피 교수는 시모무라 교수가 녹색
형광
단백질을 발견하게 된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열흘 동안 해파리를 붙들고 씨름하던 시모무라 교수가 ‘배고프고 힘드니 집에 가서 밥이나 먹자’ 하고 개수대에 실험하던 것들을 다 버렸을 때였다”며 ... ...
“훌륭한 과학자는 유럽 출신 남성? 이젠 옛날 얘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0.22
대해 한결같이 “매우 드물다”고 답했다. 챌피 교수는 노벨상을 안겨 준 녹색
형광
단백질의 발견도 우연의 결과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빛을 내는 해파리에서 답을 찾으려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었다”며 “그러던 중 실험실 불을 끄고 나가려는 와중에 개수대가 환하게 빛나는 것을 ... ...
"세계 과학계 골다공증·근육감소증 등 고령화 연구 확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22
서울대 교수, 박용호 서울대 교수, 배옥남 한양대 교수와 함께 의견을 나눴다. 녹색
형광
단백질의 발견과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한 챌피 교수는 ”이미 과학계에는 출신과 성별이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연구를 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아직까지는 여성 과학자가 훌륭한 연구 ... ...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공통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칼슘을 측정하는 녹색
형광
(Mito-Ca2+, mito-GCaMP)을 통해 파킨슨병을 앓는 초파리(왼쪽)와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초파리(오른쪽)에서 미토콘드리아 칼슘 농도가 정상보다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Ru360이나 2-APB와 같은 칼슘채널 억제제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칼슘이 억제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 자료: ... ...
[표지로 읽는 과학]초파리 뇌 발달 과정을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나오는 고유의 전사인자들을 항원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학적
형광
표지기법을 이용해 색깔로 구분했다. 물론 표지 사진도 뇌 발달의 한 순간을 촬영한 것일 뿐이다. 촬영 당시 빨강색을 내는 항체와 반응하는 전사인자를 발현시키던 신경세포가 갑자기 초록색 항체와 반응하는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양남열 LG전자 연구위원, 노경원 신코 상무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개발했다. 또 세계 최초로 하나의 본체에서 두 개이 광원을 장착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형광
분광분석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이들은 모두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기기들로, 국내 기술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분석과학기기 산업을 성장시키는 데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 받았다. 노 상무는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발표된 논문보다 4.4배 많은 특허가 나온 셈이다. 200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경우 226편의 논문이 7717건의 특허 출원으로 이어졌다. ... ...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차세대 고성능 리튬공기전지 기술 개발) △윤주영 이화여대(생체 주요물질 이미징용
형광
센서 개발 및 분자인식 연구) △조재필 UNIST (리튬이차전지 양극·음극 소재 원천기술 개발) △박남규 성균관대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석상일 UNIST(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성 향상) ... ...
모기 통해 확산되는 미세플라스틱
동아사이언스
l
2018.09.21
성충이 되기 전에 배출되는 것을 확인했다. 모기 성충의 복부를 찍은 사진으로
형광
색부분이 미세플라스틱이다. 연구진은 2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성충이 될때까지 배출되지 않고 남아있을 확률이 크다고 설명했다. -University of Reading 제공 성충 때까지 남아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