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과학기술 시네마]3관.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09.21
31건을 분석했다. 심 교수팀은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해서 금사의 성분을 알아냈다. X선
형광
분석기는 시료에 X선을 쪼였을 때 시료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X선의 파장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를 분석하는 장치다. 분석 결과 고려와 조선의 금사는 얇은 ... ...
조류 인플루엔자 위험성, 30분 만에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헤마글루티닌이 성공적으로 잘린 경우 나타나는 융합 펩티드에 반응해 빛을 내는
형광
나노 입자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두 종류의 가위(효소)와 나노입자를 이용해, 실제로 고병원성과 저병원성 바이러스를 빛으로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고병원성은 모든 가위(효소)에서 빛을 내는 반면, ... ...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
2018.08.22
반딧불이의 발광 현상을 이야기한다면 알에서 나오는 빛이나 애벌레가 반짝이는
형광
색 빛은 설명이 되지 않는다. 반딧불이의 빛은 짝짓기를 위한 통신 수단이기도 하지만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시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생존을 보장하는 비장의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 짝을 유인하는 발광 능력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자외선 차단제 잘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8.08.03
충분하다. 창문을 통해 자외선 B가 대부분 걸러지고,
형광
등에서 나오는 자외선도
형광
등 안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성분이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제공 제품의 물성도 차단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실 차단 효과를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차단제의 농도를 ... ...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위치에 정확히 세포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마이크로로봇에
형광
처리를 한 암세포를 담아 실제 쥐에 넣어 원하는 위치에 암세포가 정확히 전달된다는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재생의학이나 세포 기반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 ...
[과학사진관] 숨바꼭질은 인내심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식물조직 중 기공에 도입한
형광
단백질이 발현하는 것(진한
형광
색)을 촬영한 것이다.
형광
단백질을 입히지 않았다면 과연 구분할 수 있었을까? 단풍이 진 산을 항공으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선명한 연두색 얼룩이 떨어진 듯 이질적이면서도 묘한 이미지다. 작가의 TIP 공초점 현미경(Confocal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02
전략이다. 5월의 마지막 날 (31일 현지시각) 나온 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는 각종
형광
을 띤 세포들로 나타낸 제브라피쉬가 차지했다. 이번 호에는 대표적 실험동물인 제프라피쉬나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수정란 (배아) 세포가 특정 장기 세포로 결정되는 과정을 밝힌 미국 ... ...
[과학사진관] 반짝반짝 작은 별 아름답게 비추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6
DNA 등)에 사용하고 있다. DAPI로 염색체를 염색하면 A : T 쌍이 많은 부분이 푸른
형광
으로 보인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사랑의묘약 #폭풍우치는밤 #눈속에흐르는강 #과거로부터온메시지 #약한자의슬픔 #바람에흩날리는잎새 #나노-잔디위에핀 ... ...
의학실험때 세포 성별 무시하면 ‘큰 코’… 남녀간 약 효과-부작용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성염색체에 반응하는
형광
물질로 염색했다. Y염색체에만 반응하는
형광
물질(녹색)이 빛나는 쪽이 Y염색체다. -사진 제공 BMC 발달생물학 의학이나 생명과학 실험실에서는 인체에서 나온 세포를 이용해 많은 실험을 한다. 그런데 이 세포가 여성에게서 나왔는지 또는 남성에게서 나왔는지에 따라 ... ...
식물은 이렇게 늙는다...노화 속도 조절 메커니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무엇인지 찾는 연구로는 전체 과정의 이해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전자에
형광
물질을 처리해 발현 정도와 움직임을 보는 방법으로 유전자 간 역동적 상호작용을 관찰, 노화와 관계된 49종의 후보 유전자군을 추적했다. 이렇게 모은 데이터를 네트워크 형태로 분석했다.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