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30ns(나노초, 1ns는 10억분의 1초) 이내에서 시간 오차를 유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7개 선진국만 이런 수준의 시간유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또 휴대전화나, 인공위성용 시계 등 산업과 과학계 현장에서 각종 정밀시계를 쓰는 사람은 반드시 표준연 시간센터를 찾아야 한다. 이런 시계를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영향을 주는 수준은 아니지만 원전에서 가까운 만큼 꾸준히 노출될 수 있는 것이 문제다. 우리나라는 시간당 100μSv가 넘는 방사선량이 관측되면 대피 경보 방송을 실시한다. Tip - 일본 원전 최악의 시나리오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냉각수가 사라지고 뜨거운 핵연료봉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면 ... ...
- Part 6. 고민해결! 수학대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말씀대로 우리나라 수학과 관련된 달이 좋을 것 같네요. 어쨌든 3월이건 6월이건 아니면 우리나라 수학과 관련된 새로운 달이건 수학의 달은 몇 년 안에 꼭 만들어지리라 무릎팍 도사는 생각합니다.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며 우리 생활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는 수학이여, 모든 사람들이 수학을 ... ...
-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이어지는 π의 숫자에서 자신과 관련 있는 수도 찾으며 수학을 놀이로 즐기면 된다.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파이의 날이 익숙치 않아 학교나 학원 등에서 행사를 하기가 낯설고 어색할 수 있다. 하지만 파이의 날은 π 자체에 얽매이기보다 이를 계기로 수학을 지식이 아닌 재미있는 대상으로 생각하며 ... ...
- 환상적인 얼음 조각가, 눈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때문이에요. 지구온난화로 북극을 감싸는 한대 제트기류가 약해져 북극의 찬 공기가 우리나라까지 내려왔거든요.날씨가 추워서 밖에 나가긴 싫지만, 아무도 밟지 않는 눈에서 맘껏 노는 것만큼 신나는 일도 없지요! 다음에 눈이 왔을 때는 깨끗한 눈을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눈결정은 온도와 습도에 ...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믿을 만한 줄기세포를 과학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줄기세포주은행이 필요하다.2002년 우리나라에서는 세포응용연구사업단을 꾸려 배아줄기세포를 연구자들에게 공급해 줄 은행을 세웠다. 줄기세포주은행에서는 대학이나 병원에서 만든 줄기세포가 믿을 만한지를 DNA 검사 등으로 분석하여 증명한 뒤, ... ...
- 세 남자와 로봇 이야기, 과학돌 JYJ수학동아 l2011년 03호
- OST ‘찾았다’를 부르며 각종 음반판매 1위에 올라 그들의 인기를 확인시켰다. 현재 JYJ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넘어 미국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JYJ와 로봇, 둘 사이엔 어떤 교감이 이뤄진 걸까?“저희가 10대 때 데뷔했거든요. FLL KOREA 로봇대회도 청소년들의 축제라고 들었어요. 청소년기는 한창 ...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어렵기 때문이다. 휴대성이 필요한 미래형 자전거에 남겨진 과제다.자전거의 주민번호우리나라 사람에게 주민등록번호가 있듯이 자전거도 고유한 번호가 있다. 자전거 손잡이 바로 아래에 새겨져 있는 ‘차대번호’다. 차대번호를 가까운 기관에 등록하면 자전거 분실에 대비할 수 있다. 국내 한 ... ...
- 수학실력 최고 도시는 ‘코스트로마’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참여하고 있다. 대회는 전년도 가을 대회와 봄 대회가 한 시즌을 이뤄 결과가 발표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가을 이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고봉균 TOT 한국위원은 “대체로 25∼27점을 받은 도시가 세계 1, 2위를 한다”며 “가을 성적으로 봤을 때 2010∼2011시즌에는 한국의 도시가 상위권에 들 ...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곤충을 이용한 식품이다.보편적이지는 않지만 곤충을 먹는 사람이 없지는 않다. 당장 우리나라만 해도 메뚜기나 번데기를 간식이나 반찬으로 먹곤 한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인류의 배설물 화석에 곤충 성분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사람이 곤충을 먹었다는 증거다. TV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