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ASTACO)’는 관절이 6개인 팔이 두 개나 달렸다. 기존 굴삭기가 관절이 4개뿐이며 팔도 하나인데 비해 정교한 작업에 유리한 셈이다. 하지만 아스타코의 경우 사람이 조종해서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관절 12개를 모두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작업 속도가 느려져 현장에서 효율은 떨어진다. 조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방과 심실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심장 외에도 세포 자멸이 꼭 필요한 기관 중 하나가 바로 뇌입니다. 신경세포는 다른 신경세포들로부터 자극을 받고 전달하기 위해 짧은 수상돌기(dendrites)와 긴 축삭돌기(axon)를 뻗어내는데요. 발달 과정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를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고등학교에서 자신의 진로를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신과람(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 회원으로 활동하는 과학 교사들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교내 과학 활동과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한 팁을 소개합니다. 초등학교 과학은 체험과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더뮤지션은 배경으로 나오는 MR과 유저가 치는 피아노 소리를 1/60 초마다 믹싱해 채널 하나에 담은 다음 들려준다. 믹싱한 결과를 압축하는 기술도 필요했다.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는 낼 수 있는 소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다. 여러 개의 음원을 합치면 그만큼 소리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클래식음악을 뮤지컬로 만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기자는 “공연이 진행되는 내내 화려한 무대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고 말했답니다. 하나의 뮤지컬이 무대에 오르기까지공연을 관람한 뒤, 기자단 친구들은 주인공 역할을 맡은 다섯 명의 배우들과 를 제작한 연출가, 안무가를 만났어요. 평소에 여러 공연을 보면서 가지고 있었던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포자낭 안에는 성이 따로 없는 생식세포인 ‘포자’가 들어 있어서 땅에 떨어지면 또 하나의 식물로 자라날 수 있지요. 따라서 다람쥐꼬리에는 수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인 꽃이 없답니다. 줄기의 맨 윗부분에도 번식을 위한 ‘막눈’이 있어요. 막눈은 원래 식물의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는 ... ...
- Part 4. 무너진 건물에서 사람을 구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튼튼해도 강한 지진이 오면 무너질 수 있어. 만에 하나 이런 큰 사고가 생겼을 땐 사람들을 구조하는 기술이 필요하지. 붕괴 현장에서 사람을 구하는 첨단 기술을 만나 볼까? 꾸물꾸물~, 뱀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무너진 건물 잔해에서 생존자를 찾는 일은 무척 어려워요. 사람이 직접 잔해의 좁은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Musa acuminata)’예요. 기원전 7000여 년 전 파푸아뉴기니에서 처음으로 재배됐지요. 바나나 하나의 길이가 3~9cm 정도이고, 15~62개의 씨앗을 갖고 있답니다. 무사 아쿠미나타를 더 크고, 달게 개량한 것이 바로 우리가 먹는 ‘캐번디시’예요. 전세계 4억 명 정도가 캐번디시를 식량으로 먹고 있지요. ... ...
- [과학뉴스]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통과하기 때문에 ‘유령 입자’라고 불리기도 해요. 그동안 뮤온을 검출하려면 방 하나 정도 크기의 거대한 검출기가 필요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들고 다니며 뮤온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었어요. 이 검출기는 손바닥만 한 크기로, 뮤온이 검출기를 지나갈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생긴 뒤, 뼈조직까지 염증에감염되면서 생긴 흔적이라고 추측했어요. 특히 머리뼈화석 하나에 상처 23개가 있는 경우도 있었는데, 박치기 이외에 다른 행동으로는 생기기 힘든 것으로 보았답니다. 하지만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머리뼈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어요. 종끼리 서로 알아보거나,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