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종목에 분야를 가리지 않고 쓰인다. EPO 분석은 여러 개의 항체를 이용하는데, 시료 하나를 분석하는 데 3일씩 걸린다. DCC는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유전자 도핑’을 테스트하는 기술도 준비해왔다. 유전자 도핑은 유전자 교정 기술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간단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칵테일에 층을 만들 때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액체를 하나씩 조심스럽게 쌓는 것처럼, 현재의 공정에서는 한 가지 물질을 붓고 굳힌 뒤, 다른 물질을 붓고 굳히는 작업을 반복한다. 제작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나 레이어드 라테의 원리를 이용하면 층층이 경도(hardness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게 좋습니다. 만약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키운다면 화장실을 고양이의 수보다 하나 더 만들어 여러 군데 놔줘야 합니다. 또 고양이는 사람이 자주 지나다니거나 전자제품 소리로 시끄러운 공간보다는 조용한 장소에 있는 화장실을 선호합니다. 이런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화장실을 마련해 준다면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온과 Cl- 이온이 오른쪽 위 그림처럼 교차돼 결합해 있다. 그런데 힘이 가해져서 원자열 하나가 움직이면 아래 원자열과 서로 같은 극이 돼 반발력이 발생하고,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고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없지만 액체나 수용액 상태에서는 이온의 이동으로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눈결정은 다양한 모양으로 자라난다. 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모습이 되는 걸까? 그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 보자. 구름 속에서 눈이 생기려면 얼음의 핵이 되는 아주 작은 먼지 입자가 필요하다. 이런 핵이 없다면 영하의 온도이고 공기 중에 물이 풍부하더라도 눈이 되기 어렵다. 대부분의 먼지 입자는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간접적으로 익히기에 좋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문제 중 하나는 실제로 해커가 특정 회사나 단체를 공격해서 중요한 문서나 데이터를 습득해 빼내오는 시나리오를 다양한 단계로 구성한 것이었습니다. 목표 시스템의 사양을 조사하고 회사 내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합니다. 너무나도 평범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없었던 거지요. 단지 친한 교수의 제자 중 하나로만 여겼답니다. 그랬던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케플러 추측을 풀었다고 들었을 때는 정말 깜짝 놀랐다고 밝혔습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언론 인터뷰를 한 적도 거의 없고, 어린 시절 ... ...
- [수학공작실] 정다면체 장식공예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필요할까? 정삼각형 밑면이 나오려면 직각이등변삼각형 3개가 필요하다. 그리고 유닛 하나당 직각이등변삼각형 2개가 나오기 때문에 8×3÷2=12, 총 12개의 유닛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이십면체를 만들기 위한 색종이의 수도 구할 수 있다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반면 ‘비전형 우울증’은 너무 많이 자고, 식욕이 늘고, 몸무게가 급증하며, 팔다리에 하나도 힘이 들어가지 않아 움직이기 어렵고, 대인관계에 매우 민감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망상이나 환각을 보는 ‘정신병적 우울증’도 있다. 학계에서는 유전자나 호르몬, 뇌의 특정 부위 변화 등으로 ... ...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빛나는 밤!어두운 하늘에 별빛이 소용돌이치는 은 반 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혀요. 2016년 미국 과학자들이 이 그림을 새롭게 표현했어요.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DNA를 이용해 동전 크기의 을 만들었지요.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인 DNA는 A, G, C, T의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