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정
기획
의도
설계
스케줄
일정
구상
d라이브러리
"
계획
"(으)로 총 5,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각 부에 계측기가 있어 이를 통해 피드백을 일으킨다 계기에 나타나는 작업지령이
계획
과 맞지 않으면 계측기가 조절기 또는 조작기계로 신호를 보내 공정을 자동적으로 조절·제어하는 것이다직접 측정하려는 대상에 접촉하거나 그 가까이서 데이타를 알아내어 필요한 정보를 신호로 전달하는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단순히 가르치는데 머무르지 않고 학생들에게 일어나는 인지 과정을 알아야 지도
계획
을 세울 수 있어요. 과학교육은 심리학, 과학사, 과학철학 등 많은 학문이 관여하는 일종의 ‘종합과학’입니다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컴퓨터가정교사시스팀'으로 표현돼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공학센터에서 3개년
계획
으로 개발되고 있다컴팩트디스크(CD)의 테이프 판 디지틀 신호로 녹음한 테이프로 애널로그 방식에 비해 잡음이 없고 음폭이 넓으며 음질이 뛰어나다 올들어 일본에서 DAT녹음기가 시판에 들어갔다수치제어(Numerical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발견된 이들 중생대 곤충 화석의 분석 작업을 끝내고 하반기 중 결과보고서를 발표할
계획
이다.살아있는 화석이 된 중생대 어류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광범위하게 펼쳐진 거대 호수 속은 수많은 물고기의 보금자리였다. 유유히 물속을 헤엄치며 많은 잔이빨로 먹이잡이에 나섰던 백악기 물고기는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5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확정한 안에 따르면 2010년까지 모두 13기의 인공위성이 발사될
계획
이다. 2008년 영상 레이더(SAR)를 실은 아리랑위성 5호를 포함해 아리랑위성 7기, 정지궤도위성 2기, 과학기술위성 4기 등이다. 이 중 정지궤도위성은 통신해양기상위성(COMS)을 가리키는 것으로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구현된 것이 스타워즈의 인기 비결”이라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레이건 대통령이 SDI
계획
을 스타워즈라고 불렀듯 실제 전략에 스타워즈의 기술을 많이 끌어다 썼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미래 기술을 논의할 때 SF작가들이 꼭 참여한다”며 “과학자들은 SF의 상상력을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정지궤도 다목적 위성 ‘통신해양기상위성 1호’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 개발할
계획
이다. 이 위성은 고도 3만6000km의 정지궤도에서 통신서비스, 기상관측, 해양 관측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유럽 최대 위성 전문업체 아스트리움은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화성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를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1992년 아인슈타인이 노벨상 수상자로 결정되던 그해, 조선교육협회가 아인슈타인을 초청했다. 그러나 그는 오지 않았고, 조선에 민립대학을 세우려고 했던 지식인들의 ... 생기자 해체되고 말았다. 물론 아인슈타인을 초청해 민립대학 설립 자금을 모으겠다는
계획
도 역사 속에 묻혔다 ... ...
증기기관 vs 대기압 철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대기압 철도가 100대 이상 건설되기 시작했지만 실제로 완공된 것은 네 곳 뿐이었다. 건설
계획
이 있던 곳은 모두 증기기관 철도로 대체됐다. 1854년 이후로는 아예 대기압 철도에 관한 논의가 사라졌다.당대 유명한 엔지니어들을 매료시키며 등장했던 대기압 철도의 짧은 운명은 어디서 기인한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꾸는 ‘얼굴 모핑’(facial morphing)기술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물론 처음 이 엉뚱한
계획
을 발표했을 당시 제안자인 콜라쥬 드 프랑스의 이브 코펭 교수를 제외하고 동조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헛수고’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하지만 코펭 교수의 의지는 쉽게 꺾이지 않았다. 네안데르탈인이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