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정
기획
의도
설계
스케줄
일정
구상
d라이브러리
"
계획
"(으)로 총 5,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꾸는 ‘얼굴 모핑’(facial morphing)기술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물론 처음 이 엉뚱한
계획
을 발표했을 당시 제안자인 콜라쥬 드 프랑스의 이브 코펭 교수를 제외하고 동조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헛수고’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하지만 코펭 교수의 의지는 쉽게 꺾이지 않았다. 네안데르탈인이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뒤 인체에 감염시키면 몸 안에서 계속 인슐린을 분비할 것”이라며 ‘인슐린 기생충
계획
’을 구상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기생충은 결코 필요없는 존재가 아니다. 기생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한다. 지금은 ‘기생’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서로 이익을 주고받으며 ‘공생’하고 있는지도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 등장했다 1983년에 발견된 혜성 동년 1월 미국 · 영국 · 네덜란드 3개국의 국제협동
계획
으로 발사된 적외선 천운관측 위성아이라스(IRAS ; Infrared Astronomy Satellite)가 4월 25일 이동하는 천체를 발견했고 이어서 5월 4일 일본의 아라키 겐이치(荒貴源一)와 영국의 J 알코크가 발견한 7등의 새 혜성이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위한 새 인증시스템 수주경쟁 돌입2004년 12월 KT 초고속인터넷 종량제 시행
계획
발표2004년 5월 네티즌 1000만명 반대 서명운동2004년 1월 KT, 정액제와 종량제를 결합한 부분정액제에 대한 의견 발표2002년 말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 초고속인터넷 종량제 도입 처음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도전’이라는 한 단어로 요약했다.“불과 몇년 전만 해도 나노 정형 가공에 도전할
계획
을 가진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3년전 이 분야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결단이 오늘날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게 된 원천이라는 그의 설명이다. 양 교수는 “도전이 있는 곳에 성취도 있다”며 말을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황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동물에게 이식해 원하는 장기의 세포로 자라는지를 확인할
계획
이다. 줄기세포가 대책 없이 계속해서 분열해도 문제다. 난치병을 치료하려다 자칫 암이 생길 수 있기 때문. 생명윤리 논란 여전지난해 황 교수팀이 배아줄기세포를 얻었을 때 세계 많은 전문가들은 242개라는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단은 나노터널이 특정 세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장치를 도입하는 연구를
계획
하고 있다.화학계의 앙드레 김연구단의 이 같은 성과들은 지난 2002년부터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우리는 화학계의 앙드레 김이라고 할 수 있죠. 옷감 대신 분자를 자르고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가정에서 혈액 몇 방울로 암과 당뇨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게 됐다.포항공대 정보통신대학원 유재천(40) 교수팀은 가정에서 두세 방울의 혈액만으로 간암을 비롯한 ... %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승인을 받는 내년 상반기쯤 시판에 들어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해야 하고 아직 검토할 것이 많다”며 “5월 영국을 방문해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황 교수와 루게릭병 공동 연구를 논의하기 위해 자비로 방한한 윌머트 박사는 황 교수의 실험실들을 둘러보고 “매우 수준 높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다”며 “공휴일(식목일) 오전 9시에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데이터 분석이 끝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전 세계에 온라인으로 서비스 할
계획
이다. 올 연말쯤에는 단백질 구조를 연구하는 생명공학자들이 ‘사이버 도서관’을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