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핵심 요소로 뽑혔습니다. 이 기술 발전에 기하학 원리는 빠질 수 없습니다. 그런
데
3차원 공간을 다루는 공간좌표와 공간도형이 수능 출제 범위에서 빠졌습니다. 이런 수학이 산업기술에 어떻게 쓰이냐고요? 예를 들어 하늘에서 나는 드론을 어떻게 움직이게 만들지 생각해 봅시다. 이때 공중에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비교분석하면 최근 100여 년간 남극 대륙이 기후변화로 얼마나 달라졌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유럽 조류학 저널’ 4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80/09670262.2018.144258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 ...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앞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doi:10.1016/j.neuron.2018.02.01 ... ...
[과학뉴스] ‘액체 금속’ 생성 과정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애플 아이폰의 사과 모양 로고에 특유의 광택을 내는 비결로 잘 알려진 ‘금속 유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최근 폴 보일즈 미국 위스콘 ... 진행될 것이라는 기존의 ㅜ통념을 뒤집는 연구 결과”라며 “금속 유리를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38/s41467-018-03604-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언어를 학습하는 인공신경망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 AI가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일 정도”라고 말했다. 말랑말랑지니톡 앱은 자동통역 기술도 탑재했다. 올해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린 강릉과 평창에서는 자원봉사자와 식당 주인, 택시 기사, 외국인 등이 이 앱을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사이의 차이를 느낄 수 없다. 심 교수는 “10년 무사고 운전자를 안전 운전자로 평가하는
데
, 사람이 연간 평균 2만~3만km를 주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20만~30만km를 무사고로 운전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시험 도로에서 이 정도의 거리를 무사고로 운전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가상 플랫폼에서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냉각시킬 때 나타납니다. 영화에서는 리얼리티 스톤이 붉은 액체 방울처럼 묘사되는
데
요. 현실의 초고체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가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점성 없이 흐르고 있습니다. 도무지 상상이 안 되죠? 당연히 맨눈으로 직접 볼 수는 없고요. ‘비틀림 진동자’라는 특수장치로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지식 탐구를 위해 시작된 수학 연구들이 결과적으로 암호 및 보안 산업 등을 발전시키는
데
활용됐다는 점이다. 가령 최근 주목받고 있는 동형암호의 토대인 격자기반 암호는 19세기부터 정수론이나 결정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된 격자이론에서 출발했다. 처음부터 암호를 염두에 두고 시작한 연구가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뇌에서 각성을 유도하는 하이포크레틴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서 생기는 병인
데
요, 더 정확하게는 하이포크레틴을 만드는 뇌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가 정상인보다 현격히 부족합니다. 사실 기면증은 건강을 꾸준히 관리해 면역력을 높이고 일정한 시간에 충분히 자는 것 외에는 예방할 수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창 교수팀은 유방암세포 중 33%가 정상 유방세포보다 HOTAIR를 125배 더 많이 발현시킨다는
데
주목했습니다.doi: 10.1038/nature08975 HOTAIR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을수록 암이 전이 될 가능성도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인과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일반적인 암세포와 HOTAIR 유전자를 많이 발현하는 암세포를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