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확률 분야의 떠오르는 샛별은 2010년 필즈상을 받은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교수의 제자 휴고 듀밀-코핀 교수입니다. 박사 과정 때인 2012년 가장 ... 이 결정 역시 201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에서 나옵니다. 둘은 묘한 라이벌 구도를 이루고 있는데요. 앞으로 누가 웃게 될지 궁금합니다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뫼비우스 띠가 되지? 교생쌤과 절친이 있는 곳도 뫼비우스 띠 위인지 물어봤어. 그런데 거긴 아니래. 교생쌤이 있었던 위쪽은 끝없이 길이 이어져있대. 아무리 걸어도 길이 있다는 거야. 신기한 건 절친이 있는 곳은 아래쪽이 그렇대. 둘 다 옆으로 가면 대각선으로 걷게 된대. 교생쌤 말로는 본인이 ...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 ...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앞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doi:10.1016/j.neuron.2018.02.01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장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각인했다. 별다른 기반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데뷔 초반부터 일본, 유럽, 미주 등을 지속적으로 방문해 BTS를 노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모바일 시대로의 전환을 주목하고 지속적으로 SNS, 유튜브 등을 통해 팬들과 직접 소통하는 부분에 노력을 가한 것으로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케옵스 역시 테스와 마찬가지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집중 분석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유럽우주국은 케옵스에 이어 외계행성 탐색 위성 2기를 추가로 발사할 계획이다. 지난해 6월 유럽우주국은 외계행성 탐색 위성 ‘플라토(PLATO)’ 제작을 최종 승인했다.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해킹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장)은 “군 기술에서 미사일은 기업으로 따지면 판매하는 상품에 해당한다”며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 애플의 아이폰 등도 코드 난독화 기술로 핵심 알고리즘을 보호할 수 있다”고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총합은 각각의 운동량 증가와 감소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데, 이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실제 경기에서는 마찰력 등에 의한 운동량 손실이 존재한다. 또 상황에 따라서는 충돌하는 두 스톤이 위의 당구공 충돌처럼 언제나 동일한 충돌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사람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 장례법으로 주목받고 있지요. 또 우주선을 만드는 데도 액체질소가 사용돼요. 실제 우주선에는 추진력을 만들기 위한 연료로 액체수소와 액체산소가 쓰여요. 하지만 액체수소는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상에서 모의실험을 할 때 액체수소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들어가 AI로 만든 바다거북을 만난다고 상상해 보세요. 동물을 책이나 영상으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반려동물을 대하듯 직접 만지고 먹이를 주며 서로 교감하는 거예요.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모션 트래킹 기술과 AI를 이용해 여러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직업을 경험해 보면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녜시가 당시 세계적으로 유명한 수학자가 아니었는데도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을 여러 나라에서 번역한 걸 보면, 미적분을 공부하기에 이만큼 좋은 책이 없었다는 거겠죠? 엘리도 빨리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을 읽고 마음껏 수학을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