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건축물입니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공공기관의 관할구역을 나누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특정한 점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점을 이용해 공간을 나눈다는 성질이 있어 평면을 효율적으로 나누기 때문이에요. 공공기관을 점이라 하고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크고 무거울수록 우주로 발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에요. 중력을 뚫고 우주로 나아가는
데
힘이 많이 들고 연료도 많이 필요하거든요. 하지만 먼 우주로 가기 위해 더 많은 짐과 연료를 실어야 하는 만큼, 과학자들은 팰컨 헤비가 최종n 목적지인 화성까지 잘 도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어요. 팰컨 ... ...
[과학뉴스] 흰 딱정벌레 모방한 친환경 흰색 코팅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쌓아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게 만들어 하얀색을 띠게 하는
데
성공했다. 올림피아 오넬리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선임연구원은 “파란색을 띠는 몰포나비의 날개는 분자 구조가 일정한 패턴을 지닌 게 핵심”이라며 “반면 하얀색을 띠려면 분자 구조가 무질서하게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보톡스의 ‘친자 확인’을 둘러싼 국내 대형 제약사들의 법정 다툼이 2년째 계속되고 있다. 국내 최초의 보톡스인 ‘메디톡신’을 개발한 메디톡스 ... 따르면 이를 공개한 미국과 유럽의 연구소나 기업들은 지적재산권을 포기했다는 의미인
데
, 이는 합당한 주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박사과정 연구원은 “깊이의 차이가 크지 않은 지문 이미지를 재현하고 이를 분리하는
데
까지 홀로그램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당초 분광학적인 방식으로 지문을 분리할 계획이었지만, 사람마다 땀 성분의 차이가 크지 않고 이미지 역시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세 가지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그는 “드럼은 멋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배우기 시작했는
데
, 연습해서 한 곡을 완주했을 때의 성취감이 매우 컸다”며 “앞으로 바이올린으로 멋진 연주를 하는게 목표”라고 말했다. 미래 DGIST 후배들에게 조언도 잊지 않았다.“고등학교에 다니는 동안 한 번만이라도 스스로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내 이름으로 내보자는 생각으로 만들었어요. 처음 출시한 게 ‘바나냥’이라는 게임인
데
다운로드 수가 40만으로 제법 돼요. 최근엔 VR게임도 만들어서 3월이나 4월 중에 출시할 예정이에요. VR웹툰은 왜 만들었나요?기존 VR웹툰은 360°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어요. 웹툰의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수학자의 꿈은 2014년 수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자율 동아리를 만들면서 탄생했다. 미국에서 수학자의 연봉이 1위라는 기사를 보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 걸음씩 나아가는 중이다. 누군가 만든 과정 속에서 꿈을 찾기보다는 스스로 꿈을 찾아가는
데
익숙한 학생들의 미래가 기대된다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새로운 임무를 더하거나 빼는 등 다음 프로젝트의 운영 방식에 변화를 줬어요. 그런
데
통계 모델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운영 방식을 바꿀 수 있어요. 그럼 프로젝트 중간에도 대원들의 임무에 즉각 변화를 줄 수 있으니 비용을 줄일 수 있지요. Q. 고립 기지에서는 어떤 역할을 하시나요?고립 기간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천체물리학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선명한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에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