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한국
대한극장
극장
코리아
korea
d라이브러리
"
대한
"(으)로 총 10,25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09
이과와 문과의 이분화는 교육 효율성 제고라는 측면에서는 효과적일지 모르나 처음 맞닥뜨리는 인생의 갈림길에 선 고등학생들에게, 특히 두 계열 모두에 흥미와 적성이 있는 학 ... 한데 아우르는 용광로(melting pot)를 구축하는 매력적인 일에 많은 후배들이 함께할 수 있기를 기
대한
다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09
방식이 아니라, 서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합격 혹은 불합격만 판단한다.지원자 한 명에
대한
서류는 입학사정관 2명이 평가한다. 이때 입학사정관들은 서로가 어떤 평가를 내렸는지 모르게 진행된다. 만약 두 입학사정관이 현저히 다른 평가를 내렸다면 제3의 입학사정관이 다시 한 번 평가한다. 그 ... ...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09
진열장을 그대로 쓸 수 있게 했어요. 결국 공간 절약뿐 아니라 DVD라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사람들의 거부감을 줄이는 효과도 낳았답니다. CD 크기는 왜 12 cm?1978년 CD를 최초 개발한 필립스는 CD지름을 카세트 테이프의 대각선 길이에 해댱하는 11.5cm(약 60분 분량)로 만들었어요. 하지만 이듬해 소니와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09
닭과 다른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Mx는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고 알려진 유전자다.국립축산과학원 류재규 박사팀은 옴메 연구원팀과 함께 아프리카 재래종 닭 가운데 AI에 강한 품종을 정확히 찾아내고, 이를 이용해 AI에도 강하고 육질도 좋은 새로운 품종의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09
X선은 단결정 내부 구조를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널리 쓰인다.최근 전자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많아지고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가 이어지면서 더 ‘개성 있는’ 단결정 소재가 필요해졌다. 전기전도도나 열전도도 같은 일반적인 특성뿐 아니라 강한 자성이나 높은 빛 굴절률 같은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
과학동아
l
200909
“미래의 과학자들을 미리 만난 느낌”이라고 말했다.학생들만큼이나 교사들도 캠프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이 캠프를 시작하도록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직접 미국까지 날아가 자료를 수집했던 대전 대신고의 오기영 교사는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는 2002년에 시작돼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09
있다. 과학자 출신 국회의원인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은 ‘빛공해방지법’ 제정에
대한
공청회를 조만간 열 예정이다. 이때 빛공해 사진 전시회를 함께 개최해 빛공해의 영향과 친환경적인 조명의 필요성을 부각시켜 법률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는 계획이다.금성 같은 태양계 행성을 제외한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09
해서 도삭면이라고 한다. 아름다운 면의 비행을 본 손님들의 마음은 벌써 요리에
대한
기대로 한껏 부풀어 오른다.면요리 전문점 란주라미엔의 김재갑 사장은 “도삭면은 먹는 맛도 좋지만 보는‘맛’이 일품”이라며 “한 가닥 한 가닥 주방장이 만드는 진정한 수제면인 셈”이라고 말했다. 과연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09
이 제품은 지금까지도 일부 화상환자에게 쓰이고 있으며, 의학적으로 특별한 부작용에
대한
보고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지금까지의 이종장기이식은 대부분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치료법이 없고 이식용 사람 장기도 없을 때 마지막 희망을 줄 수 있는 수단으로 연구수준에서 시도돼왔다. 하지만 최근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09
소멸파를 이용해 가시광선으로 파장의 절반 이하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는 근접장스캐닝광학현미경(NSOM)을 만들어 아베의 법칙을 극복한 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NSOM은 렌즈를 이용해 상을 얻는 방식이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