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조립되는 ‘
나노
바둑돌’
과학동아
l
2014.07.07
지적이 있었다. 연구팀은 2~8
나노
미터(nmㆍ1
나노
미터는 10억 분의 1미터) 크기의 금
나노
입자를 합성해 물과 기름(유기용매)이 섞인 용액에 첨가한 뒤, 내부 유기용매만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볼록렌즈 모양의 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물 속의 기름방울은 완벽한 구에 가까운 형태가 되는데, 금 ... ...
주석 비켜, 구리
나노
와이어 납시오
과학동아
l
2014.07.07
싸고,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많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향후 구리
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투명전극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달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빛으로 항암제 내성 해결
과학동아
l
2014.07.06
붙여 새로운 약물을 개발했다. 이 약물이 암 세포 주위에 다다를 때 빛을 쪼이자
나노
입자가 만든 활성산소가 암 세포의 세포막을 망가뜨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포막이 망가지면 내성의 원인이 되는 펌프 단백질도 무력화돼 항암제를 세포 밖으로 퍼내지 못한다. 또 세포막이 사라진 틈새로 ... ...
[사이언스 브리핑] 과학동아 디지털매거진 발간 등
과학동아
l
2014.07.04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양극산화에 대한 반응동력학,
나노
채널의 형성과 정렬 메커니즘 등은 여전히 심도 있는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네덜란드가 반한 한국 연구로 기술
과학동아
l
2014.07.04
암 환자를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중성자의 에너지를 낮춘 냉중성자는
나노
공학과 생명공학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냉중성자 설비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다. ●방사선 뿜어져 나오는 연구로에 냉중성자 설비 달아 최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냉중성자 ... ...
[과학계 소식] 아시아 과학학술지 편집인 학술대회 등
과학동아
l
2014.07.01
생활환경 속에
나노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술대회로 국제적 합의를 이룬
나노
물질 측정기술과 독성평가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표준측정기술확보를 위해 기획됐다. ■ 인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 △전략기획 황춘식 △경영관리 한강희 ... ...
[과학계 소식] 한국연구재단 단장 인사 등
과학동아
l
2014.06.30
이재종 △경영기획 박상진 ▽센터장 △기술사업화 박희창 ▽실장 △대외협력 이상록 △
나노
공정연구 유영은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복지기계연구 박경택 ◇한국원자력연구원 △성과확산부장 라경호 △기술사업화팀장 조창연 △기업기술지원팀장 김승심 ... ...
내시경 검사 괴로움 없앨 새 검사법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06.30
이번에 개발한 수송관을 이용해 발광염료(Cy3)를 붙인 생체물질을 검출하는데 성공했다.
나노
선을 따라 전달된 빛이 생체물질에 전달되자 염료의 빛이 3배나 밝아진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수송관은 가시광선에 해당하는 모든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동안 여러 색의 가시광선을 ... ...
항암치료 효과 2.5배 높이는 DNA
나노
머신
과학동아
l
2014.06.26
병행하자 간섭RNA를 이용한 항암치료만 할 때보다 효과가 2.5배 높아졌다”며 “DNA
나노
머신이 암세포만 특이적으로 골라 치료제를 전달하도록 만드는 것이 다음 연구과제”라고 설명했다. ... ...
자동차를 수소로 달리게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25
속에 수소를 가두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표면적이 큰 탄소
나노
튜브를 수소 저장용기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장용량뿐 아니라 수소 방출 속도도 쉽게 제어할 수 있어 차세대 저장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27일 오후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