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값싼 태양전지 투명전극 재료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1
열에 약한데다 대기 중에서 산화되기 때문에 전도성이 떨어져서다. 문 교수팀은 은
나노
와이어를 산화아연으로 감싸 이 단점을 극복했다. 산화아연은 기계적·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문 교수팀은 이번에 개발한 투명전극을 실제 태양전지에 적용한 결과 인듐을 이용한 기존 ... ...
개별 세포 조종 성공…맞춤형 치료 가능해지나
과학동아
l
2014.05.21
먼저 실험용 쥐의 림프구 세포에 자성에 반응하는
나노
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자성
나노
입자’를 결합시켰다. 그리고 쥐의 몸 밖에서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해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보낸 다음 주사기로 몸 밖으로 꺼내는 실험도 ... ...
재난안전 관리 기술ㆍ시스템, 한-미 공조
과학동아
l
2014.05.21
한편, 이번 공동위를 통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미국 국가측정표준연구소는
나노
물질의 안전성 검증관련 차세대 표준화기술 등을 위한 공동연구를 올해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나노
렌즈는 탄소
나노
튜브 다발을 백금으로 코팅해 만들었다. 사진은 탄소
나노
튜브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제공 광 ... 관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
나노
스케일’ 4월 28일자에 게재됐다. ... ...
압전소자 하나로 LED 105개 동시에 번쩍
과학동아
l
2014.05.15
‘레이저 박리 전사기술’이라는 정밀 가공기술을 이용해 기존보다 효율이 약 40배 높은
나노
발전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고효율 압전소자는 바람이나 진동, 소리와 같은 미세한 힘으로도 전기를 만들 수 있다. 사람의 몸에 이식하면 심장박동이나 혈액의 흐름, 근육의 수축과 이완 ... ...
[스승의 날] 예비과학도 뒤엔 '참스승'
과학동아
l
2014.05.14
그 주인공. 이들은 어떻게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을까. 이들은 이산화주석(SnO2)과
나노
산화물(MFe2O4) 복합체로 전지의 음극 부분을 만든 연구로 I-SWEEEP 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I-SWEEEP은 고등학생이 환경·공학·에너지 분야에서 주제를 찾아 연구한 뒤 그 결과를 겨루는 국제대회다. 올해 7회를 ... ...
[대전/충남]과학과 사랑에 빠진 예술이란…
동아일보
l
2014.05.13
Artience Lab’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보다 더 많은 예술가를 참여시켜
나노
공정 연구실,
나노
자연모사연구실,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등 연구진의 참여도 확대할 예정. 임용택 원장은 “과학과 예술은 전혀 다른 분야 같아 보이지만 ‘창조’라는 접점을 갖고 있다. 원내 상설 전시관을 통해 ... ...
나뭇잎에 '이것' 붙여 유해물질 측정
과학동아
l
2014.05.11
나뭇잎과 곤충에 부착된 전자센서. - UNIST 제공 곤충이나 나뭇잎 등 생체 표면에 붙여 놓기만 하면 온도나 습도는 물론 유독 가스나 방사능 물질 등 ...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5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KAIST 오일권 교수팀이 개발한 인공근육 구조. 얇은 종잇장처럼 생긴 인공근육을 여려겹 쌓으면 로봇이나 장애인용 보조기구의 구동장치로 쓸 수 있다. - KAIST ... 내에 상용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ACS
나노
’ 최신호에 게재됐다. ... ...
꾹 눌렀더니 색이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5.07
금
나노
입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원래 푸른색이던 것이 붉은색으로 점차 바뀐다.
나노
입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기존에 개발된 변색 압력센서는 색깔 하나가 옅고 짙은 정도로 압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고 압력을 정확히 구분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