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들어진 전자제품 무덤이 있어요. 미국 애리조나 주의 사막에 있는 비행기 무덤도 그중 하나예요. 이곳에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은퇴한 4000대 이상의 군용기가 모여 있지요. 면적은 축구장 1430개 정도로 엄청난 규모예요. 일부는 수리해서 중고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기약 없이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되지요.예를 들어 볼까요? 어떤 수박이 노랑 과육 유전자 하나와 빨강 과육 유전자 하나를 갖고 있다 생각해 봐요. 이때는 노랑 유전자가 항상 우성이기 때문에 수박의 과육 색깔은 노랗게 나타난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백신을 맞힐 것인가. 결핵을 예방하는 BCG 백신은 피내용과 경피용 두 가지가 있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피내용은 보건소에서 무료로, 경피용은 병원에서 7만~8만 원을 지불하고 맞아야 한다. 그런데 당분간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 전량 수입해 사용해 왔던 피내용 BCG 백신의 공급 부족으로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양전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 중 하나로 전자의 반입자다. 수년간 데이터를 축적한 결과, 과학자들은 예상보다 더 많은 양의 양전자가 지구와 충돌하며, 이는 가까운 펄서(자전하는중성자별)로부터 왔을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그런데 미국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만 전에는 예측밖에 할 수 없었던 우리의 생활을 카메라와 비디오 등으로 연구하면서 하나씩 밝혀가고 있는 중이래.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호기심을 해결하는 연구보다는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어. 다들 알다시피 남극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우리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를 늘리기 위해 하나의 연구 내용을 여러 개로 쪼개 서로 다른 저널에 투고하는 이른바 ‘논문 쪼개기’(#1), 자신의 기여도를 높여 조금이라도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연구에 참여한 사람의 이름을 고의로 삭제하며 발생하는 ‘유령저자’(#2), 자신이 썼던 논문 내용을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다.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프렙을 전세계 에이즈 예방을 위한 중요 조치 중 하나로 제안하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대한에이즈학회 HIV 노출전 예방요법 지침 제정위원회는 올해 8월 ‘국내 HIV 노출 전 예방요법 권고안’을 발표했다. 의학의 발전으로 새롭게 HIV에 감염되는 인구는 매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오른쪽이 없이 왼쪽만 있는 배아로 발달합니다(doi:10.1016/S0092-8674(00)81472-5). 노들이라는 하나의 단백질이 자신을 억제하는 단백질까지 함께 만들어 서로 다른 세포의 운명을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모델(reaction diffusion model)’이라고 부릅니다. 이 모델은 생물학자가 아닌, 영국의 수학자이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잘할 수 있을까요?수학을 잘한다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문제 하나를 끈기있게 해결해 나가는 사람이 수학을 잘한다고 생각해요. 그러니까 수학 성적이 낮아서 수학을 잘 못한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면 좋겠어요. 대신 좀 더 깊게, 오래 생각하면 수학을 잘하게 될 거예요.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