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개수를 세어 아보가드로 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리콘 구의 부피를 실리콘 원자 하나가 가지는 유효 부피로 나누면 구 안에 들어있는 실리콘 원자 수를 알 수 있다. 실리콘 원자 수를 몰 수로 나누면 아보가드로 수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몰 수는 실리콘 구의 질량을 실리콘 1몰의 질량으로 나눈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동안 비행기를 타지 못했다. 하지만 명상을 하면서 그런 공포심이 어렸을 때 겪었던 하나의 경험이 원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마음속의 아이’를 차차 지움으로써 폐쇄공포증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있었다. 트라우마의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명상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결과 총 371가지 경우의 수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어떤 경우든 이미 밝혀진 15가지 방법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을 컴퓨터로 밝혔지요. 1918년 독일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가 최초로 5가지 방법을 찾은 이래 2015년까지 총 1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거든요. 이제 더 이상 볼록 오각형 테셀레이션의 새로운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같다는 조건을 추가하면, 모든 곡면은 곡률이 양수인 곡면, 0인 곡면, 음수인 곡면 중 하나입니다. 재미있게도, 모든 점에서 곡률이 양수인 곡면은 ‘구’뿐이며, 구멍이 한 개인 도넛은 유일하게 곡률이 0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는 모두 곡률이 음수입니다. 특히, 곡률이 음수인 곡면을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둘러싼 울타리가 16각형이고 대칭이라는 점, 동상을 받치고 있는 돌이 위로 갈수록 하나씩 줄어드는 등차수열이라는 점 등을 발견했다. 이후에도 진해역과 수양회관, 진해우체국, 진해탑, 김구선생 친필시비 등 역사가 담겨있는 곳을 둘러보며 그 속에 숨어 있는 수학을 찾았다. 특히 진해탑 같은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격자에서 게임을 할 사람을 레프트라고 정합니다. 레프트는 맨 위에 있는 n개의 점 중 하나를 출발점으로 선택해 맨 아래에 있는 점까지 선을 이어야 하고, 라이트는 맨 왼쪽에 있는 점에서 맨 오른쪽에 있는 점을 이어야 합니다. 레프트와 라이트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선이 겹치지 않게 그리면서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손가락 하나 크기의 작은 물고기가 돌에 배를 깔고 쉬고 있어요. 이 물고기는 담황색의 몸 전체에 갈색 반점이 길게 늘어서 있는 미호종개예요. 미호종개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사이를 흐르는 큰 하천인 금강에서 살아요. 서식지가 좁은데다가 각종 개발 사업으로 하천이 오염되면서 지금은 심각한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탄 특성을 정확히 분석할 새로운 실험방법도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노력 중의 하나로 필자는 레이저를 이용해 실제 총알보다 수천 배 작은 총알을 초음속으로 가속한 뒤, 이를 나노복합재료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1조 분의 1초 동안 미시적으로 일어나는 초음속 충돌 현상을 분석해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킬로노바의 밝기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최초의 다중신호 천문학분석 결과, 지구로부터 1억3000만 광년 떨어진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빼거나 더해 새로운 향을 만들기도 한다. 가령 탄소가 14개인 무스콘 분자에서 탄소 하나를 빼면 ‘시더우드(소나무과에 속한 허브)’ 향이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머스크의 무스콘 분자, 영묘향을 내는 시베톤과 인돌, 용연향을 내는 앰브리놀과 앰브레인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데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