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다양한 수학자의 최근 연구 소식을 들을 수 있어요. 학회에 오는 가장 큰 목적이기도 하지요. 이번에는 박사과정생들의 연구결과가 특히 재밌었어요. 벌써 그런 신기한 연구들을 하다니 저도 더 분발해야겠다는 자극을 받았습니다. 2021년보단 코로나19 상황이 나아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코로나19가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누군가 이기적으로 행동하여 자신의 네트워크를 공개하지 않는다면 인터넷이 더욱 넓어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연구자인 빈튼 서프가 만든 인터넷 기기들의 소통 언어인 TCP/IP 프로토콜은 컴퓨터 가 어떤 곳에 있든 모두가 평등하게 접속할 수 ... ...
- [특집] 브릭에 담긴 숫자의 마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받은 올레는 덴마크 최초로 플라스틱 사출기를 구입해 1949년부터 브릭을 만들었지요. 하지만 이때의 브릭은 속이 비어서 높이 쌓으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무너졌어요.고트프레드는 브릭이 서로 맞물리게 할 방법을 계속 생각하다가 1957년 브릭 내부에 원통형 튜브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어요.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무대 중앙 화려한 의자에 앉은 광대 ‘플뢰르’가 선왕의 죽음으로 울고 있어요. 그 주위로 귀족들이 모여들어 대화를 합니다. 이어 흰 원피스를 입은 가수가 슬퍼 ... 의해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면 돌림힘이 생겨서 회전하게 되는 것을 알고, 회전하지 않는 지점을 찾았을 겁니다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2. 신박한 정리 기계 아이템 자동 분류기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쉽게 그린 그림을 ‘순서도’라고 해요. 주로 컴퓨터가 연산을 처리하는 과정을 표현하지요. 먼저 호퍼1에서 호퍼2로 아이템 1개가 전달되면 호퍼2 속 아이템의 개수는 22개를 초과해요. 그럼 강도 2의 신호가 출력돼 레드스톤 횃불은 꺼져요. 그러면 호퍼3에는 신호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호퍼2의 ... ...
- [가상 인터뷰] 수컷 거미는 짝짓기하고 나서 도망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교수팀이 수컷 거미의 앞다리 두 개를 잘라냈더니 암컷 거미와 짝짓기 시도를 아예 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어요. 나머지 여섯다리 중 두 개를 잘라낸 거미는 짝짓기를 한 것을 발견했어요. 연구진은 암컷에게서 도망칠 수 없는 수컷 거미들이 짝짓기를 포기한 거라 추측했지요. 이 연구는 어떤 ...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수학동아 l2022년 11호
- 특정 기능을 완료한 후, 원하는 출력 데이터를 정확히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지요. 이때 정답으로 제출한 프로그램은 1~2초 안에 구동해야 하고, 고난이도의 문제일수록 이 시간 내에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요. PPC의 문제는 이전 기수의 PPC 수상자가 출제하고, ... ...
- [도전! 체크마스터] 작다고 얕보지 마! 걸어가는 군사, 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M 체스 세계에선 전투가 한창이에요. 전쟁에서 이기려면 군사를 어떻게 이동하는지 알아야 하지요. 이를 ‘행마법’이라고 해요. 아래 ‘하얀 나라’의 군사와 ‘검은 나라’의 군사가 마주보고 있어요. 놀이북 23쪽의 체스 기물 도안으로 폰의 행마법을 연습하고 체스 마스터에 도전하세요! ...
- 2022 이그노벨상 I 당신이 생각도 못한 질문 답은 이그노벨상에 있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의미만을 놓고 보면 이그노벨상의 업적은 노벨상의 업적보다 중요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이그노벨상은 처음 제정된 이후로 대중들과 소통하며 과학이 가진 즐거움을 나눠왔다 ...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지내며 주변을 탐사하고 자체적으로 에너지도 생산할 수 있는 해저 도시를 목표로 하지요. 해저 공간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KIOST 한택희 연구책임자는 “해저 도시가 폭증하는 데이터 센터로 인한 에너지 소모 문제를 잡아 전력 소모를 낮출 뿐만 아니라, 인구 증가와 해수면 상승으로 발생할 토지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