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농도 괴물은 최고의 사탕 요리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이번엔 머리를 질끈 묶은 사탕 요리사가 나섰어요.“손님들이 그러는데, 내가 만든 사탕이 어느 날은 너~무 딱딱하고 어느 날은 너~무 끈적하대.설탕물 농도가 뒤죽박죽인 게 ... 농도가 50%인 설탕물이 될까요? 그렇지 않아요. 두 설탕물 속에 들어있는 물과 설탕의 양을 따져봐야 하지요 ... ...
- [출동! 슈퍼M] “자전거 바퀴가 작으면 속도가 느린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높을수록 페달을 한 번 밟을 때 뒷바퀴가 더 많이 돌아가므로 더 빨리 달릴 수 있지요. 하지만 기어비가 높으면 페달을 밟을 때 힘이 더 들어요. 반대로 기어비가 낮으면 힘은 적게 들지만 자전거의 속도는 느리지요. 오르막길에서는 힘이 덜 들도록 기어비를 낮게 설정한답니다. 나에게 꼭 맞는 ... ...
- [특집] 펠의 방정식을 전격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불러요. 지금도 해가 여러 개인 부정 이차방정식을 풀 때 쓰이지요. 하지만 유럽 수학자들은 이 사실을 알지 못했고, 17세기가 돼서야 펠의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다시 발견했어요. 바스카라 2세의 방정식이 될 수도 있었는데 정말 안타깝죠? 오일러가 착각한 수학자인 윌리엄 브롱커는 프랑스 ... ...
- [현장취재] 필즈상 수상자는 내 멘토! 허준이 교수님의 금쪽 상담소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해결 아이디어가 떠올라요. 폴리매스를 통해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들을 배우기도 하지요. 그 과정에서 또 새로운 문제를 알게 되고, 같은 과정을 반복해요. 특히 폴리매스에서 저보다 수학을 더 좋아하고 제가 모르는 수학을 아는 사람들을 만나면 그들이 하는 수학이 멋져 보여서 다 배우고 ... ...
- 자격루의 두뇌, 588년 만에 깨어나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자세히 적혀있다. 누주통의에 따르면 1전은 동지 전후, 6전은 춘분과 추분 경, 11전은 하지 전후에 사용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런데 인사동에서 발견된 동판은 1전이라고 쓰여있는 것 외에도 글자가 새겨져 있는 부분이 잘려나간 채로 발견된 동판이 두 개 더 있었다. 두 동판이 어느 절기를 나타내는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더 많은 유저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많은 과금을 이끌어내야 한다. 현생의 몸에 의존하지 않는 진짜 예진을 만들겠다는 새로운 목적을 갖고서, 톨리는 삐빗, 하고 포효했다. 예진의 스킨을 소중하게 저장하고, 톨리는 유저들을 맞으러 떠났다. ※이 콘텐츠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 ...
- [이슈]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현수교와 같이 기둥과 연결된 케이블이 다리의 무게를 견디는 원리로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사장교는 현수교와 달리 케이블이 서로 분리된 형태예요. 각 케이블이 기둥에서 뻗어 나가며 경사★를 이루지요. 사장교는 처음에 현수교의 주케이블에 경사진 케이블을 더 달아 보강하던 것을 계기로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거리를 잴 때 두 점 P와 Q의 직선 거리를 재요. 이를 ‘유클리드 거리’라고 하지요. 하지만 맨해튼 거리는 가로와 세로의 높이를 더해 12 + 5 = 17입니다. 이 개념을 3차원에 적용하면 한 점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점들의 모임인 구도 그 모양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우리가 아는 구는 첫 번째 그림처럼 ... ...
-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쉽게 발견하기 어려워 그 모습을 상상하기 어렵지만, 새의 알은 색상과 무늬가 천차만별입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치의 알은 청회색 바탕에 작고 어두운 반점 무늬 ... 여러분은 어떤가요. 나를 감싸던 알의 역할은 무엇이고, 내가 낳을 알의 모습은 어떨지 궁금하지 않은가요 ... ...
- [현장취재] 올해로 10살!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대원들이 탐사를 위해 생물을 소중하게 여기고 동식물의 안전을 지키겠다는 선서를 하지요.장이권 교수님은 “늘 하는 말이지만, 수료식 때 수료 대원으로 꼭 다시 만나길 바란다”며 앞으로 시작될 대원들의 탐사 활동을 응원했습니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