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우리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할 때마다 약간의 찝찝함이 남는다. ‘내가 지금 다운 받는 이 파일이 어디서 오는 거지? 믿을 수 있는 건가?’ 나와 연결된 미지의 상대방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여기서 안전성 문제가 나온다. 우리가 인터넷 쇼핑을 할 때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에게 ... ...
- Part 2. 논란 없는 황금비 작품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최고의 솜씨 덕분이지, 황금비는 바이올린 소리와 무관해요.황금비는 정말 아름다울까?지금까지 황금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여러분은 황금비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었나요? 많은 분들이 사실과 다르게 알고 있었을 거예요. 저도 그 중 한 사람입니다.황금비 사기극은 아름다움을 객관적으로 ... ...
-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100일 동안 수천 송이의 꽃이 피었다 지기 때문에 7~10월 내내 무궁화를 볼 수 있는 거예요.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어떻게 무궁화가 100일 동안이나 꽃을 피울 수 있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그 이유를 알아냈답니다. 무궁화의 유전자를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내용을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및 앱에 올리면 과학자의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지구사랑탐사대’를 클릭해 보세요!Q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우선 발대식을 통해 탐사방법을 배운 뒤, 생태 전문가들의 현장교육에 참여하게 돼요. 또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놀랍게도 이런 닭을 탄생시킨 건 벨기에의 예술가 코엔 판메헬렌이에요.그는 1996년부터 지금까지 20개 국가에 사는 다양한 닭들을 연속해서 교배시키는 ‘코스모폴리탄 치킨 프로젝트’를 하고 있어요. 그 결과 유전자 다양성이 풍부한 잡종닭들이 태어났어요. 이 과정에서 잡종닭이 순종닭에 비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내복 디자이너 ‘ 이브니 포그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걸어가야 하는데 그 순서가 마구 섞여 버렸어요. 내복을 잘 보면 순서가 보이는데…. 전 지금 너무너무 당황해서 도통 순서를 모르겠어요, 썰렁홈즈. 도와 주세용, 네~?” 썰렁홈즈, 내복 모델 되다?!무사히 내복 패션쇼가 준비되었다! 하지만 너무 피곤했던 썰렁홈즈는 잠이 드는데…. 번쩍! 하는 ... ...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하 왓슨)’를 이용해 처음으로 암환자를 진료했다고 밝혔다. 그로부터 약 두 달이 지난 지금, 왓슨의 진료를 받은 암환자는 길병원에서만 85명으로 늘었다. 서울의 한 유명 병원에서는 암 환자가 의사의 판단과 왓슨의 치료 권고안이 엇갈리자 왓슨이 내린 처방을 선택해 화제가 됐다.인공지능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선명하고 세밀해 지고 있다. 스타워즈를 통해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던 홀로그램은 지금 어디까지 가능할까.정확히 40년 전인 1977년 2월, 스타워즈 시리즈의 첫 작품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이 개봉했다. 안타깝게도 영화에서 여주인공 레아 공주 역을 맡았던 배우 캐리 피셔는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최종 심사에서 “이 연구가 홈런을 칠 가능성이 얼마나 되냐”는 심사 위원의 물음에 “지금으로선 0%”라고 답했다고 한다.선정된 연구는 기체가 흐를 때 그 안의 연료 입자(고체 알갱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예측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료 입자가 촉매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작가의 신작이 나왔다. 작가는 과학동아 기자로 일하던 2008년, 새로운 연재를 제안한다. 지금은 교과서에 실린 내용의 초기 논문을 우연히 몇 편 읽은 뒤 위와 같은 추측이 틀리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시작된 연재가 바로 2012년 6월까지 이어진 ‘오리지널 논문으로 배우는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