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 59분 59초 뒤에 윤초가 들어가게 된답니다. 1초가 중요한 이유는?전세계가 연결돼 있는 지금, 1초는 생활에 아주 큰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먼저 시간이 정확하지 않으면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도 엉뚱한 사람과 통화가 연결될 수 있어요. 휴대전화의 전파는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데, 기지국의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빛이 들어오기까지지금으로부터 130년 전인 1887년 3월 6일 저녁. 어두워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던 경복궁에 작은 전구 하나가 깜빡 하더니 눈부신 빛이 주위를 밝혔습니다. 마침내 우리나라 최초로 전등이 점화됐습니다. 1882년 고종 19년, 조선은 미국과 통상 조약을 맺고, 미국에 사절단을 보낸다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2배 이상 좋다.문제없이 작동한다면 전파천문학 영역에서는 혁신이 일어날 수 있다. 지금보다 훨씬 어두운 천체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패스트는 중성 수소 가스를 탐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외계 지적 생명체를 탐사하는 일도 계획 중으로 기존 전파 망원경보다 더 먼 곳의 전파 신호까지 ... ...
- [과학뉴스] 고대 중국에서 두개골 수술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비넬로 교수팀은 ‘세계신경외과학회지’ 2016년 10월 18일자에 발표한 리뷰 논문에서 지금으로부터 3500여 년 전 고대 중국에서 두개골 절제술이 행해졌음을 뒷받침하는 다수의 고고학적, 문학적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분석한 고고학적 증거는 그동안 중국 전역에서 발굴된 두개골이다. ... ...
- [과학뉴스]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금까지는 원숭이가 사람처럼 말하지 못하는 이유가 사람과 해부학적인 발성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최근 이를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오스트리아 비엔나대 테쿰세 피치 교수와 미국 프린스턴대 아시프 가잔파르 교수 공동 연구팀은 마카크원숭이의 발성구조를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성씨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성씨 분포는 개개인이 지금 이 시점에 특정 장소에서 살고 있는 이유가 우연이 아님을 보여 준다. 그 안에는 역사와 사회, 정치, 경제적인 맥락이 모두 담겨 있다 ... ...
- Intro. 빅뱅마불게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웃음이 나더라도 잠시만 참고 인류의 위대한(!) 작품을 감상해 보시지요. 그 시작은 지금으로부터 꼭 90년 전인 1927년, 벨기에의 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가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사건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해 아래와 같은 현대의 표준우주모형이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결합계수는 1에 가까워야 자연스럽다고 본다). 즉, 힉스 입자는 인플라톤이 아니다! 지금까지 매우 다양한 급팽창 모형이 나왔지만, 어느 것도 인플라톤의 특성을 성공적으로 기술하지 못했다.이뿐만이 아니다. 인플레이션 이후 우주는 빛과 중성미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던 기간과, 이후 일반물질과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IAP는 특히 은하 연구와 수리우주론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앞서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온것 중에 가장 완전하다고 평가받는, 좌우로 거의 20억 광년에 이르는 우주의 3차원 지도를 2015년 4월에 공개했고요. 내로라하는 수리우주론의 대가들이 IAP 소속입니다. 항성 핵융합 이론 연구가 장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야생 닭이 수천 마리가 남아 있다. 하지만 개발과 사냥으로 이마저도 사라지고 있다. 지금도 베트남 시골의 장에서 우리 돈으로 약 11만 원을 주면 야생닭을 암암리에 구해준다.미국 캔자스대 생물학자 타운센드 피터슨은 1999년 발표한 논문에서 “보존을 위해 20세기 중반에 미국으로 옮겨졌던 것을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