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3000일 운전 ‘끄떡 없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수 있는 중성자 비파괴 검사도 가능하다. 여기에 2010년 완공된 ‘냉중성자 연구시설’은
나노
및 바이오 연구를 위한 핵심 기술인 측정과 분석에 이용되고 있다. 2014년 2월 10일 0시에 3000일 운전을 달성한 하나로원자로는 상용원자로와는 달리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쓰이는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다 ... ...
10년 뒤 우리나라 먹여살릴 원천기술은 바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올해 마지막 1개 연구단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BT(생물공학), NT(
나노
공학), IT(정보공학), ET(환경공학) 등 핵심 기술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기획위원회 사전기획과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추진위원회의 심의를 진행했다. 그 결과, 새로 선정할 연구단은 △미래 맞춤형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 포스텍 이종람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유리 위에 금속기판을 놓고 원자결합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를 100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에서 1nm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차세대 전자소자의 경제성을 높인 이 기술은 대한민국 발명특허대전 대통령상(2011) 및 국가논색기술대상 장관상(2011)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 ...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8배(33.8 mF/㎠)나 높게 나타났다. 또 이 젤을 산화티타늄, 실리콘
나노
입자 등 다양한
나노
입자와 결합해 복합재료를 만들어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구조와 구멍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다른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맞춤형 그래핀 소재를 ... ...
식물 속에 '비밀' 통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8
다세포생명체 속에서 세포간 신호전달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에 대한 기초연구에는 물론
나노
채널 조절 기술로 새로운 농업형질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 말했다 ... ...
신약 개발 도움주는 고전하 이온 싸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적용하거나 반도체 성능을 높이는 이온빔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며 “물질의
나노
구조까지 세밀하게 관찰하고 가공할 수 있어 신소재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저전력 트랜지스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하대 유기응용재료공학과 양회창 교수와 영남대
나노
메디컬유기재료공학과 김세현 교수,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임성일 교수 공동연구팀은 일반 건전지 전압인 1.5V(볼트)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부드럽고 유연한 ‘유기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 ...
설연휴 굴-조개 충분히 익혀드세요
동아일보
l
2014.01.27
더욱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 여름철 식중독과 증상 비슷 노로 바이러스(NLVs)는 27∼40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에 불과한 매우 작은 바이러스다. 정십이면체 모양의 이 바이러스는 영하 20도의 혹한과, 60도 이상 온도에서도 30분 이상 버틸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1968년 미국 오하이오 주 ... ...
칠면조가 만든(?) 바이오센서
과학동아
l
2014.01.26
다양한 색을 만들어냈다. 칠면조의 콜라겐처럼 바이러스가 습기나 화학 물질에 노출되면
나노
구조가 팽창하면서 색도 달라지게 만든 것. 이 교수는 “바이러스가 TNT 같은 폭약에 반응할 수 있도록 설계해 화학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호흡만으로 암이나 다른 ... ...
‘
나노
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김 교수는 “이 장치의 해상도는 우주에서 지구인의 손바닥을 식별하는 정도”라며 “이
나노
칩은 기존 현미경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싼 영상장비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광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13일자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