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조경제 박람회 '속 빈 강정'?동아사이언스 l2013.12.15
- 대뇌 피질을 통과하는 정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산소 포화도를 계산해냈다. 78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빛은 혈액 속 디옥시-헤모글로빈보다 ‘옥시-헤모글로빈’을 더 잘 통과하고, 850nm 빛은 반대로 ‘디옥시-헤모글로빈’에 대한 투과성이 더 높다는 상반된 특징을 이용한 것. 13일 ... ...
-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는 ‘나로호 3차 발사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3.12.11
- 제거해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과 폐암이나 유방암의 전이를 차단하는 신물질, 나노 입자로 만든 슈퍼렌즈 기술, 곤충 눈을 닮은 초광각 카메라, 물리학의 오랜 난제 ‘호프스타터의 나비’를 그래핀으로 구현한 성과 등이 올해의 연구업적으로 인정받았다. 동시에 과학기술계의 주요 이슈로는 ... ...
- 손가락을 구부렸더니 불이 켜지네동아사이언스 l2013.12.10
- 이건재·남윤성 교수 공동연구팀은 유전자 조작 바이러스를 이용해 고성능 ‘압전나노발전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압전소자는 압력 변화를 통해 전기를 만드는 물질로, 예를 들어 신발 뒷축에 압전소자를 장착하면 길을 걸으면서 전기를 생산해 휴대전화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 ...
- 바이오, 로봇 투자는 하지만 효과는...동아사이언스 l2013.12.09
- 회장 박용현)은 연구소나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표본기업 1000개사를 대상으로 나노융합·IT융합·자동차 등 '2012년 산업통상자원부 분류'에 따른 16개 기술분야에 대해 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기술수준을 조사한 결과, 전 세계 최고기술 대비 평균 68.3%에 불과하고, 최고기술 수준을 달성하려면 5. ... ...
- 나노입자로 연결된 면역세포, 면역력 2배동아사이언스 l2013.12.04
- 연결해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4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길이의 ‘나노다리’로 면역세포를 연결하자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이 약 2배 이상 늘어났다. 사이토카인이란 체내 면역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신호전달물질로, 사이토카인 분비량이 늘어나면 ... ...
- 요술인가, 마법인가…최첨단 프린팅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3.12.04
- 잉크를 이용한 프린팅 연구도 하고 있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와 인하대 나노시스템공학부 양회창 교수는 최근 필요한 부분에만 잉크를 떨어뜨려 반도체를 쉽게 찍어내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전도성잉크와 절연성잉크로 찍어내는 반도체 프린팅 기술 연구는 ... ...
- "나노 의료로봇으로 '다빈치' 아성 넘어야"동아사이언스 l2013.12.04
- 연구개발하기가 쉽지 않다”며 빠르게 눈을 돌려 국내 연구진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나노 의료 로봇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 의료 로봇 시장 규모는 2012년 기준 14조 달러로 군수로봇 시장의 2배가 넘는다. 엄청난 규모의 시장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복강경수술장비 ‘라파로봇 ... ...
- 스마트폰 배터리 용량 5배 이상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13.12.03
- 1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의 황 나노와이어를 전극 재료로 사용했다. 연구팀은 황 나노와이어 표면에 균일하게 탄소를 코팅해 배터리 내부에서 황이 녹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 전기 저장 용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도 해결했다. 그 결과, 300회의 충·방전 뒤에도 초기 ... ...
- 초고속 光컴퓨터? ‘나노레이저’가 해답동아사이언스 l2013.12.03
- 물질에 전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 것이 핵심기술”이라며 “이번에 개발한 나노 레이저는 현재 가장 적은 전류를 이용해 구동하는 장치로, 전선과 전기 대신 광섬유와 광신호로 작동하는 광컴퓨터의 집적회로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저전력 광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 ...
-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3.12.01
- 나노촉매로 충전과 방전을 50회까지 성공했다”며 “리튬공기전지가 상용화되려면 나노촉매뿐만 아니라 다른 핵심 부품의 효율을 높이는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아래 링크로 가면 바이러스로 배터리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