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적 장애, 이제 치료 가능하게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물론 발생 메커니즘을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UNIST 민경태
나노
생명화학공학부 교수는 대표적인 지적장애 원인인 다운증후군과 취약 X염색체 증후군이 뇌 신경세포 속 단백질 합성 과정 중 생기는 공통의 문제 때문에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신경과학 분야 권위지 ‘트랜드 ... ...
값싸고 효율 높은 OLED 제작 원천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기판 사이에서 빛의 손실이 일어나면서 전력이 많이 쓰인다는 점을 발견하고, 기판을
나노
미터(nm=10억분의 1m) 수준의 구조체로 만드는 한편, 빛의 굴절률이 높은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해 표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 했다. 그 결과 빛 손실을 10% 이내로 줄여 조명으로 쓰기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부른다. 7과 8의 최소공배수가 56인 것과 비슷한 원리다. 그래핀과 hBN 초격자의 길이는 10
나노
미터가 넘기 때문에 수십 테슬라 정도의 자기장으로도 호프스태터 나비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 실제 실험결과 나비는 볼 수 없었지만 전자의 에너지가 프랙탈 패턴을 보인다는 사실은 확인했다. ... ...
지구를 넘어 화성에서 살 날 곧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주목받고 있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세계 최초의 탄소
나노
튜브 트랜지스터로 장식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컴퓨터공학과 숩하시스 미틑라 교수는 세계 최초로 CNT 트랜지스터로 컴퓨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수 만개의 CNT로 178개의 ... ...
미래車 동력, 연료전지 효율 확~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이용하면 현재의 절반인 40g만 있어도 충분하다. 성영은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나노
전극은 연료전지 뿐 아니라 태양전지, 충전용 배터리 등을 만드는 신소재로도 쓸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 ...
원하는 물질만 빨아먹는
나노
스펀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기름과 알코올을 분리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문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나노
스펀지는 환경 분야에서 더 미세한 기공을 가진 맞춤형 필터를 만들어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다”며 “불소 대신 금이나 실리콘으로 처리하면 2차전지나 태양전지 같은 새로운 에너지분야에도 ...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송재용 센터장이 말하는 ‘
나노
과학’ 발전 방향 ①
나노
기술은 기반과학. 서두르지 말고 인내심 갖자. ② 측정장비나 측정기술 연구에도 힘쓰자. ③ 계산과학자·공정연구자·측정과학자가 공동 연구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 마련하자 ... ...
때아닌 가을모기,
나노
입자 앞에서 벌벌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개체수 증가를 막는데 효과적임을 발견했다. 사카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탄소
나노
물질은 만들기 쉬울 뿐만 아니라 수용성이라 물에 쉽게 녹고, 친환경적이다”라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모기살충제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햇빛을 이용해 청정에너지 뽑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수 있지만 전기 전도도가 낮아 햇빛을 이용한 수소 전환 효율이 낮았다. 연구팀은
나노
합성 기술을 이용해 독특한 모양의 산화철을 만들고 여기에 미량의 백금을 추가했다. 또 코발트 포스페이트를 보조 촉매로 이용해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켜 태양광의 수소 전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 ...
온도 낮추면 전기 안통한다고? 아니올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금속-절연체 상전이의 원인이 새롭게 규명됨에 따라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의 물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얇은 원자층을 제작하는 기술이 발전해 소요 경비가 줄어들면 10년 내 실용화가 기대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