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첨단 의료기기 PET와 MRI이 만나면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방사선 검출기에 들어오는 빛을 증폭)는 조규성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와 설우석
나노
종합기술원 연구원이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전체 시스템 가격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핵심적인 장치다. 이와 함께 새로운 신호전송방법과 영상위치판별회로를 개발하고, 이 회로를 이용해 기존 ... ...
그래핀과 탄소
나노
튜브 성질 ‘내 맘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첨가해 새로운 변형 신소재 개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 것이다. 그래핀이나 탄소
나노
튜브는 고성능 태양전지, 고효율 배터리, 고장력 케이블 등을 개발하는데 적용되고 있지만, 실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재료 특성을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동안 재료 특성변형 기술 개발이 쉽지 않아 ... ...
표준硏 테뉴어 연구원 5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표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신개념 방사능 측정장치를 개발했다. 노삼규 연구원은
나노
구조를 이용한 다중파장 적외선 영상센서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박창준 연구원은 잔류가스질량분석기(RGA) 시스템 기술 및 4중 극자형 질량필터 제작기술을 확보했다. 정세채 연구원은 펨토초 레이저를 ... ...
전세계
나노
융합산업 전문가 우리나라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나노
융합산업 전세계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에 모였다. 대전시는 5일부터 이틀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세계
나노
융합산업 선진국과의 협력과 ... 라이프니츠고체재료연구소 등을 방문해 과학기술 교류 협력을 체결하는 등
나노
융합산업 허브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슈퍼컴퓨터, 창조경제+삶의 질 동시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1
기포 발생 장치의 효율을 높이고 개선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1년
나노
수처리 기술 중소기업 ‘에스엠워터테크’는 마이크로 크기의 기포를 만드는 장치 개발에 뛰어들었다. 문제는 실제 장치를 만들어 실험하고 분석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는 것. 결국 ... ...
[채널A] 꿈나무들 멘토 자청…‘과학계의 15개의 별’ 한국에 뜬다
채널A
l
2013.10.28
만들려면 어떤 점을 염두에 둬야 할까요? [녹취: 재키 잉 / 싱가포르 생물공학 및
나노
기술연구소(IBN) 소장] 우리 몸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로봇의 종류가 매우 많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마이크로로봇은 매우 도전적인 연구 주제지만 결실도 크리라 생각합니다. 올해 미래과학콘서트는 '과학의 ... ...
반도체, 프린터 하나만 있으면 막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찍어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와 인하대
나노
시스템공학부 양회창 교수 공동연구팀은 잉크젯 프린팅으로 ‘유기트랜지스터’를 만들 때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유기트랜지스터는 탄소 구조를 골격으로 한 반도체 ... ...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
과학동아
l
2013.10.25
날개를 찍은 것이다. 나비 날개는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조금씩 달라진다. 날개에 있는
나노
크기의 비늘이 특수한 빛만 반사하기 때문이다. 나비가 젊을수록 비늘이 싱싱하고 튼튼해 짝짓기를 할 때 번들번들 빛나는 나비에게 더 많은 짝이 몰려든다. 겨울나무 숲 - 충북대 의학연구정보센터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② 네이처
동아사이언스
l
2013.10.25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편집위원인 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및
나노
과학기술대학원 교수는 “국가의 과학기술 정책이 네이처 게재 내용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며 “네이처의 자매지 시스템은 과학 출판사의 성공적인 사업 모델이 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 ...
복합재료로 체중 줄인 우주선 '더 멀리'
동아사이언스
l
2013.10.23
튼튼한 구조를 만들 수 있어 우주선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나노
소자는 구성 원자들끼리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쉽게 일어나 각종 재료의 성질을 금새 바꿔 놓는 우주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게 해준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김천곤 교수는 25일 오후 6시 3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