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지구
를 떠나기 전, 이단의 아빠이자 세계적인 천재 과학자인 이영도박사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죽은 줄로만 알았던 이영도 박사가 어떻게 세트단과 함께 나타나 아누비스 명령을 따르게 된 걸까요.과학저널 ‘사이언스’ 2013년 7월 26일자에 실린 논문 한 편이 이 모든 이야기의 ... ...
지렁이가
지구
온난화 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만드는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혀왔지요. 그런데 새로운 공범이 나타났어요. 놀랍게도 그 주인공은 바다에 사는 약 1㎝ 크기의 작은 지렁이랍니다.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앤드류 서버 박사팀은 심해에 사는 큰 사슴갯지렁이가 바다 속의 메탄농도를 올린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전
지구
에 떨어진 소행성의 지름은 약 10㎞, 도시 하나 정도의 크기였지만 공룡을 포함한
지구
생물의 약 75%를 멸종시켰을 정도로 강력했지요.하지만 유성우는 대부분이 ‘먼지’이기 때문에 대기권에서 모두 타올라서 사라져 버려요. 일반적인 유성들도 대부분 아주 작은 암석이나 먼지랍니다. ... ...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되새기며 편지를 쓰려고 해. 모두의 이야기를 담았으니 꼼꼼히 읽어 줄 거지?가자!
지구
의 보물 뉴칼레도니아로!‘어린이과학동아’ 생태탐사대는 8월 12일 오전 7시 30분 인천국제공항에 모였어.우리가 향한 곳은 바로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에서 북동쪽으로 1700㎞ 떨어져 있는 서울 면적의 30배 ... ...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생물을 직접 탐사하고 생명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어과동
지구
사랑탐사대에 무척 기쁘고 즐거운 소식이 날아왔어요. 지사탐 대장님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이 ‘여천생태학상’을 수상했답니다.여천생태학상은 기초생태학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뛰어난 차세대 ... ...
‘지지리 마란드러’ 여름방학숙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 정말 재미있어요!”지지리 마란드러는 방학숙제를 해결하면서 ‘
지구
사랑탐사대’ 활동에 푹 빠져버렸다.“이제는 수원청개구리 탐사도 하고 매미 탐사, 귀뚜라미 탐사까지 다 할 거야!”썰렁홈즈는 맨날 말썽만 부리던 지지리 마란드러가 이제 철이 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지금 ... ...
지구
사랑탐사대 두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지난 7월 26일, 탐사대 친구들이 매미를 만나기 위해 서울 남산도서관 앞에 모였답니다.이 날 저녁에는 어마어마한 광경이 펼쳐졌어요. 매미의 한살이 중 가장 신기하고 환상적인 순간! 날개돋이하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었답니다!매미는 애벌레가 번데기를 거치지 않고 어른벌레로 변해요(불완전 ... ...
‘태양’ 앞을 지나가는 ‘별’을 잡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NASA)은 최초로 태양계 밖 행성의 일식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일식의 주인공은
지구
에서 63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 HD189733이에요. 이 항성에 딸린 행성 HD189733b는 2.2일에 한 번씩 HD189733 주위를 돌고 있지요. NASA는 찬드라 위성과 XMN 뉴턴 위성이 찍은 두 별의 엑스레이데이터를 분석해 HD1897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친구들 안녕~! 나는
지구
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육상 선수 우사인 볼트야! 요즘 한국에 엄청나게 빠른 경쟁자가 자주 출몰한다는 소식을 듣고 자메이카에서 한달음에 달려 왔어. 8월 6일에는 한국에 그 경쟁자가 4만 7천 번이 넘게 나타났다지 뭐야! 그래서 내가 한국에서 덥기로 유명한 대구로 왔어!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결정구조의 얼음처럼 밀도가 물보다 높아 가라앉는 얼음도 있다.우주에선 얼음이 대부분
지구
에서는 액체 상태인 물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우주에서는 어떨까? 우주는 온도가 낮아서 대부분 얼음으로 존재한다. 우주에서 생명체를 찾을 때 물보다 얼음을 먼저 찾는 이유다. 과학자들은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