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타면 세계 어디든 24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 전화, e메일, 문자 메시지 등을 활용해 지구 반대쪽에 있는 사람과도 쉽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런 글로벌 시대에 글로벌한 직업을 갖고 일하는 것은 어떨까. ‘외국회사니 혹시 영어를 엄청나게 잘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본사의 지시만 받아서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울대 화학과에 꼭 가겠다’는 결심을 했다. 외우는 것을 잘 못했던 그는 생물과 지구과학은 암기과목과 다름 아니어서 일찌감치 전공 대상에서 제외했고, 물리는 재미있기는 하나 마음이 가지 않았던 것. 그렇지만 용액과 용액이 만나면서 색깔이 바뀌고, 뭔가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내는 화학은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세상을 크게 봐야 한다. 내가 활동할 곳은 여기가 아니라 세계다. 나는 한국인이 아니라 지구인이다. 이렇게 생각하니 넓은 세상에서 공부할 수 있게 돼서 좋더라고요.”대학에 진학하면서 선택한 전공은 전자공학이었다. 첨단 기술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전자공학이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집을 여러 채 지어본 사람도 건축가 못지 않게 잘 알아요. 이런 분야에서 견디려면 지구력도 있어야 하죠.” 건축가의 인기는 여전하다. 자신이 머리로 구상한 공간 구조가 눈 앞에서 정말 실현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건축가만의 특권이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묵묵함과 끈기도 ... ...
- 아리랑 3호, 벌써 1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3호’가 발사한 지 벌써 1년이 되었어요. 아리랑 3호는 2012년 5월 18일에 발사된 뒤 지구 곳곳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아 왔지요. 국내 최초로 해상도 1m 이하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위성’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지상의 풍경을 높은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답니다.발사 1주년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운동을 시킨다.❽ 지구판을 지구 자전 방향으로 천천히 돌린다.재료는 어디서 구할까?지구판, 캐릭터 도면 : 어과동 블로그의 실험 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MISSION 5 전기를 소리로 바꾼 알렉산더 벨전화는 소리를 먼 곳까지 전달하는 장치지. 말의 음파를 전류, 또는 전파로 바꿔 멀리 떨어진 ...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온도와 염분의 차이로 인해 움직이는데, 이는 염분과 열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구의 기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해류 중에는 거대한 고리 형태로 순환하는 소용돌이가 있는데,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소용돌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했다. 소용돌이의 정확한 경계를 알아내지 못했기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래는,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 ...
- ‘빛’을 테마로 한 과학관 생겼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국립광주과학관이 10월 15일 공식 개관했다. 광주 첨단지구에 위치한 이 과학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됐으며, 2개의 상설 전시관과 기획 전시관, 어린이관, 천체투영관, 3D 및 4D관, 이동천문대 등을 갖추고 있다.과학관은 총 36개 주제, 151점의 첨단 과학물을 ... ...
- 아이손이 다가온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부서질 가능성도 높다. 이 경우 아이손 혜성의 궤도로 봤을 때 부서진 조각들이 내년 1월 지구에 더 많은 유성우로 떨어질 것이다. 즉 예전에 봤던 유성우가 혜성에서 떨어져나온 먼지 부스러기였다면 이번에는 혜성의 몸통이 유성우를 만드는 것이다. 아이손 혜성의 방문은 여러모로 흥미로운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