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돌고래가 점프하며 인사하는 곳.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태평양해양연구센터가 있는 ‘지구의 배꼽’, 남태평양 축의 산호바다다. 그곳에서는 몸도 마음도 뜨거운 멋진 남자들이 묵묵히 바다와 산호초를 지키고 있었다. 남태평양 사나이들의 대장, 박흥식 센터장(47)을 산호바다에서 직접 만났다. ... ...
- 지구 대기의 비밀을 엿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찍은 것이 아니라 NASA의 고더드 우주센터에 있는 지구관측시스템 ‘GEOS-5’로 현재의 지구 대기를 시뮬레이션 한 장면이에요. GEOS-5는 다양한 해상도로 날씨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서 각 지역의 날씨를 예측하는 데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랍니다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방사선 물질을 내뿜지 않고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연료야. 달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오면 헬륨3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겠지?어과동 친구들, 2020년이 되면 달 탐사선을 통해 생생한 달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거 야. 그 때는 친구들이 스마트폰 화면으로 달에 있는 내 모습을 볼 수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그린란드의 면적이 아프리카 대륙과 똑같아 보인다.반면 위크 교수와 스워트 박사는 지구의 모습을 왜곡시키지 않고, 마치 종이접기 모형처럼 접어서 다시 구형을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평면 지도를 만들었다. 두 사람이 사용한 방법은 구를 수많은 조각의 다각형으로 나눈 뒤에, 연속된 ...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움직이는지 연구하는 장치를 설치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위성추적장치를 설치해 지구를 돌고 있는 아리랑 위성을 감시하고 있다. 태평양센터는 남태평양의 바다와 땅, 하늘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곳이다.남태평양의 뜨거운 남자들체험단원들과 자주 어울린 태평양센터의 윤건탁 박사는 ...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아쉬운 점은 있었지만 롬복 섬에 솟아 있던 린자니산은 우리에게 여전히 ‘역동적인 지구(Dynamic Earth)’를 보여주었다. 고도가 올라가면서 식물의 키는 줄어들고 점점 다양한 양치식물이 늘어났다. 곳곳에 대여섯 종의 식물들이 하나처럼 얽혀 있었다. 또 우거진 나무 사이로 소리지르며 ...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결과 미생물은 전멸하지 않고 살아남았다.외계 미생물이 냉동 상태로 우주공간을 날아와 지구에 떨어졌을 때 일부가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만약 미생물이 얼음이나 바위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면 방사선에 의한 영향도 받지 않을 수 있다.그렇다면 대기권 진입 시에 생기는 ... ...
- 2013 뉴칼레도니아 생태탐사 수습대원은 바로 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다?뉴칼레도니아에서는 독특한 야생동식물을 만날 수 있어요. 우선 “컹~, 컹~” 짖는 지구에서 유일한 새, ‘카구’를 볼 수 있답니다. 날지 못하는 새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의 국조예요. 원시소나무인 ‘아로카리아소나무’도 볼 수 있답니다. 위로 뾰족한 게 우리가 알고 있는 소나무와는 많이 ... ...
- 개미도 직업을 바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인생무상을 실감하고 있는 닥터 그랜마예요. 차라리 직업을 바꿀까 싶다가도, 평생 지구 정복을 꿈꿨는데 이제 와서 그만두면 무얼 먹고 사나 고민되기도 하네요. 일렬로 줄지어 지나가는 개미를 보니 참 부러워요. 개미는 역할이 평생 똑같으니까요. 먹이 구하는 개미는 먹이만 구하고, 알을 돌보는 ... ...
- 너를 위한 이야기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적이 없었지만, 그 나름으로 이해하려 했다.우리들은 태어나면 모두가 안다. 네 어머니가 지구에 왔을 때 우리 모두가 알았다. 우리는 네 생애를 지켜보았고 함께 해 왔다. 우리가 이 이야기를 하기로 정한 것은 네 고독이 과해졌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가 네 슬픔에 같이 슬퍼하기 때문이다. 네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