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뭐야. 같이 볼래?물의 비밀 ➊ 지구는 거대한 물탱크다물은 생물을 지탱하는 원천이다.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를 넘는다. 이 가운데 4분의 3이 바다와 빙산, 빙하같은 빙원, 하천에 포함돼 있으며 나머지 물은 공기 속의 수증기나 땅 속의 지하수 형태로 존재한다. 바다의 물은 수증기로 변하고, ... ...
- 마술 부리는 행성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중력과 자력의 절묘한 지점을 맞추면 마술을 부리듯 지구본이 공중에 붕 뜬다.공중부양 지구본에 이어 공중부양 행성본이 나왔다. 달,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7개의 천체 모습을 고스란히 담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고해상도 이미지로 실제와 거의 똑같이 만들었다.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태양권을 탈출하기까지는 아직도 수천 년 이상의 먼 여정이 남은 셈이다. 물론 그 때는 지구와 통신이 끊겨 보이저 1호가 오르트 구름을 발견해도 우리는 알 수 없을 것이다.과연 오르트 구름은 정말 있을까. 태양권 너머에는 우리가 모르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 보이저 1호의 앞으로의 행방이 더욱 ...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대해 이야기하려면 기생충을 전달하는 매개동물, 특히 파리와 모기가 중요했다. 모기는 지구에서 가장 위험한 생물이라고 할 정도로 다양한 기생생물의 매개곤충이고, 말라리아, 황열병, 뎅기열, 뇌염 등을 옮긴다. 체체파리는 수면병(트리파노소마라는 균에 의해 발병한다)을 옮긴다. 모기와 파리의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않는다. 만약 정원 지도와 위성지도를 합칠 수 있다면, 지구를 처음 보는 외계인에게 “지구란 바로 이런 모습이다”라고 한번에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뇌지도도 마찬가지다. 물론 그 전에 두 지도를 각각 완성하는 게 먼저다. 그것만으로도 뇌는 무한한 공간이다.2. ‘네트워크’ 뇌에서 ... ...
- 열대야가 72일이나…2100년 서울의 밤은 ‘더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증가 현상의 주범으로 대기 중 온실가스 증가와 강한 북태평양 고기압을 지목했다. 지구온난화로 태평양의 수온이 점차 오르면서 앞으로도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에 강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기상청 기후예측과 이은정 연구관은 “앞으로 100년 동안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5.3도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수가 급격히 늘어났거나, 부패 작용이 활발해졌다는 뜻이다.설국열차 내 승객을 포함해 지구에 살아남은 동물이 얼마 되지 않았다고 해도 장기적으로 본다면 산소 문제를 완전히 간과하는 것은 현명한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열차에 탄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 정해졌다.산소와 식량 두마리 토끼를 ... ...
- 400년 사는 조개가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얼마나 오래 사는지 잘 모른다. 평소에 접할 수 있는 동물이 개나 고양이 정도다 보니 지구를 공유하는 다른 동물에 대해서는 무지한 탓이다. 과연 동물은 얼마나 오래 살까? 여러 동물이 세운 최장수 기록을 알아보자.편집자 주각 동물의 최장수 기록은 HAGR(인간노화유전체리소스)가 운영하는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위치가 변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듯이 달도 지구의 주위를 도는데, 이때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생긴다. 이 때문에 실제로 달의 모양이 변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 눈에는 달이 점점 작아지거나 점점 차오르는 걸로 보인다. 이런 달의 모양을 ...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푸코에게 이 장치를 추천했다. 푸코는 이를 지구의 자전과 관련된 실험에 사용하면서 ‘지구의 회전을 보는 장치’라는 뜻으로 자이로스코프라는 이름을 붙였다.1860년대에 전기 모터가 개발되면서 모터를 단 자이로스코프가 고안되었고, 여러 발명가들이 탄도 미사일과 블랙 박스에 활용할 방법을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