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같은 다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AI 인공지능 비서를 만든다면, 하나의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클라우드 기술과 AI 기술이 고도화되고, 융합하면 자비스처럼 수많은 정보를 분산 저장, 처리하는 AI 인공지능 비서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아가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습니다. 2061년 멀티백은 마침내 지구 전체가 마음껏 쓰고도 남을 정도의 태양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냅니다. 축제가 벌어지고, 술에 취한 멀티백 엔지니어 두 사람은 태양에너지가 영원한 것인지 얘기하다가 멀티백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수명이 다한 태양의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플랑크톤이 풍부한 남극 바다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대거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고이자 이를 산소로 바꾸는 산소 공장이다. 이대로라면 지구의 생물학적 펌프(biological pump)가 고장 날 수도 있다. 사실 인류가 북극과 남극에서 일어나는 이런 변화를 시시콜콜히 확인하고 지구온난화에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엄밀히 말하면 이 셀은 육각기둥 형태인데, 육각기둥이 살짝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저장한 꿀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는다. 꿀벌이 어떻게 이런 효율적인 집을 지을 수 있었는지 밝혀진 건 얼마 되지 않았다. 수천 년 동안 과학자들은 꿀벌이 그저 똑똑해서 육각형 셀로 벌집을 지었다고 ... ...
- [만화뉴스] 항문 주름 인식 중…, 당신의 똥을 분석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4월 6일,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서울송도병원 공동연구팀은 대소변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 스마트변기 기술을 개발했어요 ... 연구진은 “이 정보들은 매우 민감한 개인 정보라 의료진의 시스템에 전송된 후 변기엔 저장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했다”고 밝혔답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집에만 있으니 답답해? 집콕 메이커 도전! 놀이공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높은 곳에 있을수록, 탄성에 의한 위치 에너지는 용수철을 길게 잡아당길수록 더 많이 저장되죠. 즉, 롤러코스터는 더 높은 곳에서 떨어질수록 더 큰 위치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운동 에너지로 바뀌었을 때 더 빠른 속도를 내는 거예요. 미국 뉴저지주에 위치한 식스 플래그스 그레이트 어드벤처 ...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단백질, 세포 소기관을 분해하는 현상이다. 자가포식의 일종인 리포파지(lipophagy)는 특히 저장된 지방을 분해하는데, 체지방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기작이다. 자가포식은 발견된 지 50년이 넘었으나 긴 시간 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대 교수가 1990년대 자가포식의 기작을 ... ...
- [한페이지 뉴스] 고압에선 이런 모습이? 방사성 원소 퀴륨의 재발견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있게 됐다”며 “악티늄족 원소의 화학적 특징을 더 명확히 알면 핵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저장 기간을 연장하는 새로운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86-020-2479-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RNA 바이러스의 기원을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세포는 유전정보를 DNA 형태만으로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이런 한계를 극복한 가설이 ‘세포탈출설’이다. 세포탈출설은 세포의 유전물질 일부가 세포를 벗어난 뒤 특정 효소와 단백질을 얻으면서 바이러스가 됐다고 설명한다. 소아마비의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울음소리가 지역마다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연구였습니다. 이를 발표한 시민은 FrogID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했습니다. 데이터 자체의 한계로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학술지에 발표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이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보기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