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약한 전파를 크게 만들어주는 증폭기가 있고, 그곳에 모인 전파는 주파수 별로 분해돼 저장된답니다. 외계행성에 탐사선 보내기외계인이 있을 만한 행성에 탐사선을 보내 외계인을 찾는 방법도 있어요. 러시아 억만장자 사업가 유리 밀너와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 그리고 세계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대기로 이동하고 ②대기 중의 물은 주로 빙하, 지하수를 머금고 있는 토양, 호수 등에 저장되고 ③비를 통해 땅과 강으로 다시 돌아오는 순환을 반복한다. 가뭄은 이런 물의 순환에 문제가 생길 때 발생한다.지구의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땅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도 덩달아 많아졌다. 이는 물의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르다. 우선 세균은 유전물질을 DNA로 저장하지만,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RNA로도 저장하고 있다. 또 RNA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돌연변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는 곧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세균성 질병보다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성체가 된 닭은 항체를 생성하는 미지의 세포가 다른 조직(림프 기관)으로 이동해 저장돼 있었기에 적은 양이지만 항체를 만드는 것이 가능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이 기관이 없다. 이후 수십 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인체에서 항체를 만드는 세포는 태어난 직후 8~9주 동안은 간에서, 그 이후에는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외부 물질을 인식하고 유해성을 판단해 제거한다. 그리고 외부 물질의 정보는 항체로 저장해 다음에 똑같은 물질이 침입하면 즉각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면역시스템이 작동할 때 외부 물질에 대응하는 것만큼 중요한 점은 자신의 신체 조직에는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남과 나, 외부 물질과 자신을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용하고 있어요. EAV-3는 낮에는 태양빛으로 비행하면서 남는 에너지를 배터리팩에 저장하고, 이를 다시 밤에 사용하는 걸 반복해요. 현재의 배터리 기술로는 최대 100회까지 반복해 비행할 수 있으며, 내후년 쯤에는 300회 이상 반복할 수 있도록 연구를 거듭하고 있답니다. 이융교 책임연구원은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평소 T림프구는 비활성 상태로 2차 림프 기관에 저장돼 있다. 그러다가 항원이 체내에 침입해 대식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가까운 지역의 T림프구가 활성화되고 항원 침투 부위로 출동한다. 또 수지상세포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한다. 활성화된 T림프구는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일이 지정해줘야 합니다. 리스트 s1에 s1 = [‘’, ‘one’, ‘two’, … , ‘nineteen’]을 저장합니다.20부터 99까지는 한자처럼 10진법 체계로 읽으니 읽으려는 수를 10으로 나누는 방법을 써서 함수로 나타냅니다. 몫이 십의 자릿수, 나머지가 일의 자릿수가 되며, 십의 자릿수에 대응하는 영어 이름을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시스템의 주목을 받지 못한다. 영양분이 면역시스템의 공격을 받지 않고 몸에 저장될 수 있는 이유다. 다시 박테리아 A와 식세포의 전쟁터로 돌아가자. 침입 부위로 몰려든 대식세포는 직접 항원을 먹어 치우는 동시에 인터류킨(Interleukin)-12라는 단백질 신호를 발사해 자연살해세포를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